최경환 취임 1주년 소회…“정치권, 대안없이 비판만 해…속상”

입력 2015-07-16 10:4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6일 "우리 정치권은 정부가 요청한 경제활성화 법안 처리는 차일피일 미루면서 대안없이 비판만 하고 있다는 생각에 속이 상할 때가 있다"고 밝혔다.

최 부총리는 취임 1주년을 맞은 이날 기재부 직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을 통해 "다른 나라는 정부와 정치권이 한마음으로 2인 3각 경기를 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일본과 영국의 '뜀박질 개혁'이 참 부럽다"며 일본과 영국을 개혁의 모범 사례로 들었다.

최 부총리는 "여기에 더해 (우리) 노동계는 총파업을 무기로 기득권 유지에 급급한 현실"이라면서 지금은 '한국처럼 되기(Koreanization)'가 많은 개도국의 목표지만 나중에 '거북이가 잠자는 정도의 느린 개혁'으로 의미가 바뀔까 봐 걱정된다고했다.

최 부총리는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포함한 재정보강 대책, 경제활력 대책, 개혁 과제를 성공적으로 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추경은 '시간 싸움'"이라면서 "물이 없어 성장이 멈춘 나락에 뒤늦게 물을 줘봤자 쭉정이가 알곡이 될 리 없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설명했다.

구조개혁에 대해서는 "'되면 좋고, 안되면 말고'가 아니다"라며 "괜찮은 일자리 좀 만들어 달라고 대자보를 쓰는 대학생의 절박함이나 이들이 '졸업=백수'가 되는 것을 보며 복장이 터질 부모들을 생각해 보라"고 언급했다.

지난 1년간의 성과로는 외환위기 이후 처음 구조개혁을 위한 큰 그림을 그린 점과 시장이 정부 정책에 반응하기 시작한 점을 꼽았다.

최 부총리는 "비록 이해갈등이 커서 정부의 시간표대로 척척 결과가 나오기 어렵겠지만 공무원연금 개혁에서 보듯 착실히 앞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평했다.

이어 "부동산은 가계의 핵심 자산이기 때문에 '드디어 집이 팔리기 시작했다'는 평가가 가장 고맙고 반갑다"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 그리스 사태, 중국 금융시장 불안 등 안팎으로 악재가 겹치다 보니 지난 1년간 여러분(기재부 직원)이 벌인 분투가 좀 묻히는 느낌이 없지 않다"며 직원들에게 안타까움도 드러내기도 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국내보다 낫다"…해외주식에 눈 돌리는 대학생 개미들 [데이터클립]
  • "웃기려다가 나락"…'피식대학'→'노빠꾸 탁재훈'이 보여준 웹예능의 퇴보 [이슈크래커]
  • K-푸드, 수출 주역으로 '우뚝'…10대 전략산업 넘본다 [K-푸드+ 10대 수출 전략산업②]
  • "서울 집값·전세 계속 오른다"…지방은 기대 난망 [하반기 부동산시장 전망①]
  • 줄줄 새는 보험료…결국 가입자 '쥐어짜기' [멍든 실손개혁下]
  • 피겨 이해인 "미성년 성추행 사실 아냐…부모님 반대로 헤어진 후 다시 만나"
  • 급전 끌어 쓰고 못 갚고…현금서비스·카드론 잔액 동반 증가
  • ‘유퀴즈’ 빌리 아일리시, 블랙핑크 제니와 각별한 우정…“평소에도 연락, 사랑한다”
  • 오늘의 상승종목

  • 06.27 12:4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6,095,000
    • -1.57%
    • 이더리움
    • 4,772,000
    • -0.42%
    • 비트코인 캐시
    • 530,500
    • -3.89%
    • 리플
    • 662
    • -1.19%
    • 솔라나
    • 193,400
    • -1.02%
    • 에이다
    • 539
    • -2.71%
    • 이오스
    • 809
    • -0.12%
    • 트론
    • 175
    • +1.16%
    • 스텔라루멘
    • 127
    • -0.78%
    • 비트코인에스브이
    • 62,650
    • -2.87%
    • 체인링크
    • 19,520
    • -2.5%
    • 샌드박스
    • 468
    • -1.4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