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는 1일 국무회의에서 쌀 수급불균형 해소, 가공을 통한 쌀의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 등을 골자로 하는 '쌀 가공산업 활성화 방안'을 보고했다.
1인당 연간 밥쌀 소비량은 2009년 74㎏에서 지난해 65.1㎏으로 줄고, 같은기간 가공용 쌀 소비량은 5.4㎏에서 8.9㎏로 늘었다. 간편식품에 대한 선호가 높은 1인, 맞벌이 가구 증가에 따른 쌀 가공식품 수요 증대에 기인한 것이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우선 원료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국산 햅쌀을 원료로 한 고급 가공용 쌀 시장을 창출하고자 가공용 쌀 생산을 늘릴 방침이다.
현재 200㏊인 대호지구 쌀 전문 재배단지 규모를 내년에 500㏊로 늘리고, 2017년까지 새만금ㆍ화옹지구 등으로도 재배단지를 확대한다.
계약재배 활성화를 위해 들녘단위 공동경영체 등 농가와 기업을 알선ㆍ중개하고 계약약관도 마련해 가격변동에 따른 계약 파기를 사전에 예방할 계획이다.
중간소재인 쌀가루를 다양한 제품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제과ㆍ제빵ㆍ프리믹스 등 용도별 품질지표와 규격설정을 내년까지 국가식품표준(KS)에 반영할 예정이다.
정부양곡은 재고 해소와 밀가루 대체 수요 창출 취지에서 밀가루 제품과 경쟁할 수 있는 수준으로 한시적으로 할인 공급을 추진한다.
또한 지난해 말 기준 국내 쌀 가공업체 1만7380개의 평균 매출은 2억4000억원으로 규모가 영세하다.
정부는 쌀 가공업체 육성을 위해 기능성ㆍ신소재 제품 개발 등 민간이 하기 어려운 분야에 정부가 중점적으로 투자할 예정이다. 가공업체와 공동 연구와 기술 이전도 활성화한다.
항산화, 다이어트 등 쌀이 가진 고유의 기능성을 구명하고, 쌀과 쌀부산물을 활용한 기능성 식품, 친환경 고부가가치 신소재 개발을 위한 연구도 확대한다.
판로 확대를 위해서는 쌀 가공품의 군ㆍ학교ㆍ대형급식업체 납품을 늘리고 공영홈쇼핑 입점 등을 추진한다. 지난 7월 개국한 공영홈쇼핑에는 쌀 가공제품 전용 시간대를 운영하기로 했다.
아울러 세계 글루텐프리 식품시장에 국내 쌀 가공업체가 진출할 수 있도록 해외 글루텐프리 인증 획득을 지원하고 국내에도 공인 인증기관을 만들 계획이다.
쌀 가공식품 수출물류비 지원 대상도 현재 6개(쌀과자ㆍ떡ㆍ식혜ㆍ누룽지ㆍ가공밥ㆍ쌀국수)에서 전 제품으로 확대해 수출 경쟁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농식품부는 이번 방안을 통해 2017년까지 쌀 가공산업은 매출액 5조원, 수출액 1억달러 수준까지 성장하고, 쌀 소비량도 70만톤 수준으로 늘어날 것으로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