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우진비앤지, 국내 최대규모 동물백신 공장 건립 첫 삽

입력 2015-09-07 08: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본 기사는 (2015-09-07 09:10)에 Money10을 통해 소개 되었습니다.

[종목 돋보기] 미생물 발효ㆍ추출 원천기술을 보유한 우진비앤지가 동물백신공장 건립을 위한 첫 삽을 떴다.

7일 우진비앤지에 따르면 이 회사는 지난 4일 충청남도 예산군 일반산업단지 내 동물백신 공장 착공식을 가졌다.

이번에 신축되는 우진비앤지 동물백신 공장은 연면적 1만1749m²로, 국내 동물백신 공장으로는 최대 규모다. 연간 생산 능력 또한 국내 최대로 약 1억5000만 도스(dose)에 달한다.

독일의 MWPI사가 개념설계를 담당하고, 창조건축이 기본 및 상세설계를 진행해 계획 단계부터 가장 까다로운 EUGMP(유럽우수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인증에 대비했다. 이에 국내 최초의 EUGMP 기준을 충족하는 동물백신 공장이라는 게 회사측의 설명이다.

우진비앤지 장현 백신 연구소장은 “새롭게 지어지는 동물백신 공장은 시설 자동화를 통해 최고의 품질과 안전성을 확보함으로써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교차오염, 미생물 오염 등의 문제를 확실히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특히 공장의 기술적 수준뿐만 아니라 백신 생산의 소프트웨어 및 관리 시스템도 유럽의 다국적 기업 못지 않게 준비하고 있다”며 “국내 동물백신 생산 업체와의 차별성은 물론 다국적 기업과의 경쟁에도 철저히 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공장에서는 향후 바이러스 항원, 박테리아 항원 등을 생산하게 되며, 완제품 제조 시설 또한 갖추게 된다. 우진비앤지는 이를 위해 공장 내 2500 m² 규모의 연구 실험동 및 동물 실험동을 함께 신축한다.

이미 개발을 완료하고 출시 준비 중인 10여 개 동물백신 제품 외에 다국적 기업이 제품화하지 않는 틈새 백신 제품군에 대한 연구에도 박차를 가해 글로벌 제품 파이프라인을 구축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강재구 우진비앤지 대표는 “2020년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국내 및 수출 수요 공급을 위해 2단계 투자를 통해 생산 규모를 늘려나갈 계획”이라며 “이와 함께 2020년 이후 인체백신에 대한 임상 진입을 목표로 공동 연구개발을 수행 중에 있으며, 인체백신 생산에 대비해 예산군에 또 하나의 백신공장 건축 부지를 준비해 놓은 상태”라고 설명했다.

강 대표는 이어 “계획대로 2025년 인체백신 시장까지 진출을 완료하면, 다국적 기업과 견줄만한 동물 및 인체백신 모두를 생산 가능한 글로벌 바이오 기업으로 발돋움하게 될 것”이라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 투자자 300명에게 공개하는 종목의 속살 이투데이 스탁프리미엄에서 확인하세요

http://www.etoday.co.kr/stockpremium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2세들의 광폭 행보…행정부 실세들의 '진짜' 역할은 [이슈크래커]
  • 충격적인 故김새론의 고백, ‘AI 조작’이라고? [해시태그]
  • ‘터졌다하면 수백억’…정치권 규제 프레임 갇힌다 [횡령의 땅, 규제의 그림자 下]
  • 32년 만에 성사된 리그1 vs 세리에A 챔스 결승…관련 징크스는? [이슈크래커]
  • 롯데컬처웍스·메가박스중앙 합병 MOU…‘위기의 영화산업’ 활로 찾는다
  • 아이들, '여자' 떼고 새 출발…이름 '싹' 바꾸는 엔터 업계, 왜 지금일까? [엔터로그]
  • 거세지는 위약금 면제 요구…SKT "7조원 이상 손실 예상"
  • 국민 절반은 울화통 안고 산다 [데이터클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0,160,000
    • +2%
    • 이더리움
    • 2,762,000
    • +6.44%
    • 비트코인 캐시
    • 583,000
    • +12.22%
    • 리플
    • 3,121
    • +2.97%
    • 솔라나
    • 217,600
    • +4.21%
    • 에이다
    • 1,016
    • +5.5%
    • 이오스
    • 1,204
    • +17.92%
    • 트론
    • 354
    • +1.14%
    • 스텔라루멘
    • 387
    • +4.03%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500
    • +5.21%
    • 체인링크
    • 21,010
    • +7.25%
    • 샌드박스
    • 411
    • +5.9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