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은 미 연준이 금리인상의 지표로 삼고 있는 PCE Index 물가지표가 지난 12개월간 겨우 0.3% 상승에 그치는 등 물가 상승 압력이 너무 약하다는 점도 금리 동결의 중요 이유로 보고 있다.
하지만 미국의 금리는 이번에 인상되지 않았어도 12월 인상은 거의 확실하다. 시기상 몇 달간 차이가 있을 뿐 향후 몇 년간 이어질 미국의 금리인상 기조가 올해부터 시작될 것이라는 점은 명약관화하다. 그러면 여기서 관점을 약간 돌려서 금리가 올라간다면 얼마까지 올라갈 것인가를 논해 보기로 하자.
먼저, 금리는 단기금리와 장기금리로 나눌 수 있다. 1년 이하의 단기금리는 중앙은행의 화폐정책에 연동되어 움직인다. 전 세계의 단기금리는 미 연준에서 그 방향성이 결정되며, 이후 나라별 사정에 맞추어 다시 각 중앙은행 간의 의사결정을 통해 최종 조율된다. 오늘날처럼 단일화된 세계 금융시장은 G1인 미국이 금리의 향방을 결정하는 것이 힘의 논리이다.
그 다음 장기금리를 살펴보자. 장기금리는 OECD의 경우 대개 10년 만기의 국채 수익률이 시장금리를 대표하는 ‘지표금리’로 쓰이고 있다. 이들 장기금리는 중앙은행이 결정하는 단기금리의 영향을 받지만 ‘금리의 기간구조’라 부르는 채권시장의 메커니즘을 통해서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많은 경우 중앙은행이 결정하는 단기금리 정책이 장기금리 시장에서는 약화한 형태로 나타나며, 가끔은 영향이 거의 없는 경우로 나타날 때도 있다. 미국의 경우 과거 50년간에 걸친 장·단기 금리 흐름을 그래프로 살펴보면 확연히 알 수 있다. 연준이 결정하는 단기금리는 마치 잔파도처럼 등락이 매우 크지만, 10년물 혹은 더 장기의 30년물 국채 수익률 그래프는 거의 일관되게 50년 동안 하락곡선을 그리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다. 즉 단기금리의 경우 각국 중앙은행들이 이를 결정하므로 금리를 예측하는 것은 결코 쉽지 않은 반면, 장기금리의 경우 상당한 트렌드를 보이기 때문에 우리가 예측하는 것이 훨씬 용이하다는 것이다.
그러면 장기금리를 결정하는 요소로는 어떤 것이 있을까? 숭실대 이창수 교수(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의 연구에 의하면 ‘여피너드 비율(Yuppie-Nerd ratio)’이 장기금리를 결정하는 결정적 요소로 작용한다. 즉 20~35세 인구를 나타내는 ‘여피(Yuppie)’, 그리고 40~55세 인구를 나타내는 ‘너드(Nerd)’, 이들 연령별 비율이 우리나라뿐 아니라 미국 등 OECD 각국의 장기금리를 90% 이상 설명하는 결정적 변수라는 것이다.
생각해 보면 논리적으로도 당연하다. 왜냐하면 ‘여피’족들은 저축에 비해 쓰는 돈이 많은 ‘자금의 수요자’인 반면, ‘너드’족들은 상대적으로 쓰는 돈에 비해 저축이 많은 ‘자금의 공급자’이기 때문에, 이들 인구 구성비에 따라 결국 한 국가의 장기금리가 결정될 수밖에 없다는 논리이다.
예컨대 2030년 우리나라의 장기금리는 어떻게 될 것인가? 미래의 장기금리를 예측하기는 쉽지 않아 보여도 2030년의 인구 구성비는 매우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인구 구성비로부터 우리는 미래의 장기금리를 비교적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
그럼 그 결과는? 유감스럽게도 우리가 모두 잘 알듯이 인구의 노령화 진전에 따라 우리나라 장기금리는 하락 추세를 벗어날 수 없는 것으로 나온다. 이런 저금리 구조하에서 투자를 한다면 어디에 해야 할 것인가? 역시 같은 논리로, ‘여피너드 비율’이 높은 나라에 투자해야 한다는 결론이다. 물론 정치적 안정은 필수적 전제조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