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은행권의 연공형 임금체계를 직무 및 성과 중심으로 개편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연공형 임금계체는 급변하는 시장환경에 대응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조기퇴직 패턴화로 고용불안을 부추긴다는 지적이다.
권순원 숙명여대 교수는 5일 서울YWCA 대강당에서 열린 '은행의 바람직한 성과주의 확산 방안' 세미나에서 '금융산업 임금체계의 현재와 미래' 주제 발표에서 이 같이 밝혔다.
국내 은행들의 당기순이익은 2009년 6조3000억원을 바닥으로 2010년부터 증가했지만 다시 2012년부터 감소하고 있다. 국내 은행들의 2013년 당기순이익은 3조9000억원으로 2012년 8조7000억원 대비 55.3% 축소됐다.
2010년부터 회복세를 보이던 국내 은행의 총자산순이익률(ROA)도 2012년과 2013년 2년 연속 하락하면서 2009년 0.38 이후 가장 낮은 0.34까지 떨어졌다.
수익성은 떨어졌지만 임금수준은 타 산업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전산업의 임금수준을 100으로 봤을 때 2006년 금융산업의 임금은 129.7%였으며 지난해 기준으로는 139.4%까지 높아졌다.
임금인상 수준도 높았다. 2006년을 기준으로 지난해 임금이 전산업의 상승률은 37%를 기록했고 금융산업은 이보다 10%포인트 높은 47%로 집계됐다.
임금체계는 호봉제 도입 비율이 91.8%로 전체산업 60.2%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권 교수는 "은행의 정규직근로자 채용회피와 비용 외부화 전략이 지속되고 있다"며 "가장 큰 원인은 강한 연공형 임금체계"라고 말했다.
또 임금부담으로 50대 초반 퇴직이 패턴화된 상황에서 정년 60세 법제화로 은행이 인건비 상승과 인력관리의 어려움을 회피하기 위해 조기퇴출 프로그램이 더 활성화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권 교수는 "현재 정년연장-후선배치-조기퇴직의 악순환이 반독되는 상황을 고려할 때 현행 연공형 임금체계를 직무와 성과 중심으로 개편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직무의 개발 및 할당-직무와 임금의 연계 강화-숙련인력 활용-중고령 근로자들의 노동생상성 향상-은행의 경쟁력 강화 등 선순환의 인력자원관리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