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까지 전철, 철도 지하화” ... 총선 앞두고 선심공약 남발

입력 2016-01-11 11:0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재원 마련 방안·이행 계획없이 실현성 낮은 포퓰리즘 공약 여전

20대 총선을 앞두고 실현 가능성이 낮은 대형 건설 공약이 다시 판치고 있다. 정부의 사회간접자본(SOC) 분야 예산 축소에도 불구하고 유권자들의 표심을 사려는 후보들의 경쟁은 여전하다.

그러나 이런 공약 대부분은 정부가 반대하거나 재원 등 구체적 실현 방안이 낮은 것이 대부분이라는 점에서 유권자들의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충북 제천·단양에 출사표를 던진 송인만 예비후보는 최근 제천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서울~제천·단양을 잇는 전철 건설을 공약으로 발표했다.

송 예비후보는 “서울~제천·단양 전철을 개통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인구가 저렴한 비용으로 지하철을 타고 신토불이 음식을 즐기면서 휴양을 하고 힐링을 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구체적 재원 마련 방안이나 이행 계획은 내놓지 않았다. 이에 반영된 예산도, 정부의 검토도 전혀 없는 검증되지 않은 구상이다.

부산 진갑에서는 정근 예비후보가 도심철도 지하화(경전선 부전∼가야 조차장 지하화 등)를 내세워 추진위원회까지 만들었다.

정 예비후보는 “새로운 도심철도는 지하화함으로써 미래 부산의 100년을 보장할 수 있도록 디자인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철도 지하화는 서울은 물론 경기 평택 등 각 지역에서도 여러 차례 시장·국회의원 후보들이 공약으로 내걸었으나 사업에 성공한 사례가 없다. 사업 시행 후 장점에 비해 엄청난 규모의 재원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부산 도심철도 지하화 역시 국토교통부가 막대한 비용 등을 들어 ‘불가’ 의견을 분명히 했다.

이외에 제주시 동부지역 항공마이스터고 신설 유치(제주시을 한덕규 예비후보), 구덕운동장에 부산지방합동청사 유치(부산 서구 곽규택 예비후보) 등 각종 유치전도 유권자를 현혹하는 대표 사례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는 “어떤 후보를 선택할지는 결국 유권자의 몫”이라며 “후보자별 선거 공보물 등을 꼼꼼히 살펴 자신이 원하는 후보를 선택할 수 있는 지혜를 발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제주 찾는 전세계 MZ 관광객...유통업계, 특화 마케팅 한창[K-관광, 다시 혼저옵서]]
  • 호텔신라 신용강등 위험… 회사채 수요예측 앞두고 악재
  • '재개발 끝판왕' 한남뉴타운, 시공사 속속 정해져도...다수 구역 여전히 지연
  • 시총 두 배 ‘빅딜 효과’…K-제약·바이오, 빅파마와 거래로 성장동력 확보
  • 지방 금융 3사, ‘지역 기업 리스크’에 1분기 실적 희비 교차
  • [날씨] '대구 낮 최고 29도' 초여름 날씨…일부 지역 일교차 15도 이상
  • 글로벌 보폭 넓히는 K조선…삼성重, 베트남·인니 조선소 협력 검토
  • 프로야구 역대 최다기록 모음집…연승과 연패, 그리고 천적 [그래픽 스토리]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8 09:08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735,000
    • +0.76%
    • 이더리움
    • 2,286,000
    • -0.17%
    • 비트코인 캐시
    • 481,700
    • +3.26%
    • 리플
    • 2,981
    • -1.32%
    • 솔라나
    • 194,600
    • +2.31%
    • 에이다
    • 890
    • +0.45%
    • 이오스
    • 904
    • +3.43%
    • 트론
    • 357
    • -0.28%
    • 스텔라루멘
    • 347
    • +1.1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410
    • +1.3%
    • 체인링크
    • 18,090
    • +0.61%
    • 샌드박스
    • 359
    • +1.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