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 생각] 1월 18일 前覆後戒(전복후계) 남의 전철을 밟지 말라는 교훈

입력 2016-01-18 10:2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주필 겸 미래설계연구원장

오늘은 반성의 자료로 전철(前轍)에 관해 이야기해보자. “앞의 수레가 엎어지면 뒤의 수레에 경계가 됩니다. 하, 은, 주 삼대가 오래 번영한 것은 지난 일을 알고 있었기 때문입니다.”[前車覆 後車戒 夫三代之所以長久者 其已事可知也] 전한(前漢)의 문제(文帝) 때 가의(賈誼·BC 200~BC 168)가 올린 상소문의 일부다. 한서(漢書) 가의전에 나온다.

그는 계속 이렇게 말했다. “진(秦)나라가 몹시 빨리 망한 이유는 그 수레바퀴의 자국을 보면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도 바큇자국을 피하지 않는다면 뒤에서 오는 수레는 곧 엎어질 것입니다.”[秦世之所以函絶者 其轍跡可見也 然而不避是 後車又將覆也]

앞 수레가 엎어지며 남긴 바큇자국, 즉 전철은 밟지 말아야 한다. 이런 교훈을 전복후계(前覆後戒) 복거지계(覆車之戒) 전거복철(前車覆轍) 전거지감(前車之鑑) 전거가감(前車可鑑)이라고 한다. 전철을 다시 밟는 것은 중도복철(重蹈覆轍)이다.

가의보다 후대인 한(漢)의 유향(劉向·BC 77~BC 6)이 지은 설원(說苑) 선설(善說)편에 이런 이야기가 있다. 위(魏) 문후(文侯)가 대부들과 술을 마실 때 공승불인(公乘不仁)에게 상정(觴政, 벌주를 집행하는 심판)을 맡겼다. “잔을 다 비우지 않는 사람은 큰 술잔으로 벌주를 마시게 하라.” 그런데 정작 문후 자신이 잔을 비우지 않아 공승불인이 벌주를 주려 하자 문후는 쳐다보기만 했다.

옆에 있던 시종이 “임금께서는 이미 취하셨소”라고 하자 공승불인이 말했다. “주서(周書)에 ‘앞의 수레가 엎어지면 뒤의 수레에 경계가 된다’는 말이 있습니다. 이 말은 앞사람이 행동을 단정히 해야 함을 말하는 것 같습니다. (중략) 임금께서 규칙을 정해놓고 지키지 않으시면 되겠습니까?” 문후는 옳은 말이라며 벌주를 마신 뒤 그를 상객(上客)으로 삼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우리 아이, 잘 발달하고 있을까?…서울시 ‘영유아 무료 발달검사’ 받으려면 [경제한줌]
  • 어도어-뉴진스 전속계약 소송 첫 변론...“합의 희망” vs “그럴 상황 아냐”
  • 탄핵 선고 앞둔 헌재, 이웃들은 모두 짐 쌌다 [해시태그]
  • “매매 꺾여도 전세는 여전”…토허제 열흘, 강남 전세 신고가 행진
  • '폭싹 속았수다'서 불쑥 나온 '오나타', '○텔라'…그 시절 그 차량 [셀럽의카]
  • 탄핵선고 하루 앞으로...尹 선고 '불출석', 대통령실은 '차분'
  • 트럼프, 한국에 26% 상호관세 발표...FTA 체결국 중 최악
  • 발매일ㆍ사양ㆍ게임까지 공개…'닌텐도 스위치 2'의 미래는? [이슈크래커]
  • 오늘의 상승종목

  • 04.0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472,000
    • -1.9%
    • 이더리움
    • 2,663,000
    • -4.07%
    • 비트코인 캐시
    • 446,900
    • -1.32%
    • 리플
    • 2,997
    • -4.37%
    • 솔라나
    • 171,900
    • -7.73%
    • 에이다
    • 951
    • -5.65%
    • 이오스
    • 1,160
    • -3.09%
    • 트론
    • 344
    • -2.82%
    • 스텔라루멘
    • 381
    • -4.0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580
    • -4.85%
    • 체인링크
    • 18,940
    • -5.68%
    • 샌드박스
    • 377
    • -5.7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