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범 워터스트라이더 대표 “허공 만지면 화면에 ‘터치’… 3년여 만에 개발”

입력 2016-02-24 10:2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美 실리콘밸리서 ‘공간터치’ 기술 ‘에이직 칩’ 생산 추진

▲김기범 워터스트라이더 대표가 지난 22일 서울 대방동 이투데이 사옥에서 인터뷰에 응하고 있다. 사진=신태현 기자 holjjak@
▲김기범 워터스트라이더 대표가 지난 22일 서울 대방동 이투데이 사옥에서 인터뷰에 응하고 있다. 사진=신태현 기자 holjjak@
“기계의 사용 설명서를 숙지할 필요 없이 기계가 나의 의도를 읽고 알아서 작동해 준다면 좋겠다는 아이디어에서 시작했죠.”

김기범(56) 워터스트라이더 대표는 지난 22일 본지와 만나 ‘공간 터치’ 기술을 개발하게 된 계기를 이같이 설명했다. 그는 관련 기술을 상용화할 수 있는 ‘에이직(ASIC) 칩’을 올해 실리콘밸리에서 생산할 계획이다. 전문가 8명과 함께 2012년부터 3년여간 기계와 교감할 수 있는 터치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다.

워터스트라이더의 공간터치 기술은 사용자가 원하는 공간에 눈에 보지 않는 가상 터치 화면을 만들어 화면에서 30cm 정도 떨어진 곳에서도 터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시중에 나와 있는 다양한 형태의 3차원 터치 기술이 카메라·적외선·초음파 등을 기반으로 했다면 워터스트라이더는 전기장의 원리로 구현했다. 이 때문에 인체처럼 기계의 모든 표면을 센서화할 수 있다고 김 대표는 전했다. 또 카메라 등 별도의 값비싼 조정 장비 없이 칩 하나만 장착하면 돼 저비용ㆍ저전력으로 제작할 수 있는 것도 장점으로 꼽힌다.

이에 따라 워터스트라이더의 공간 터치 기술이 모바일 기기, 사물인터넷, 가상현실, 홀로그램 영상, 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김 대표는 기대했다. 과거 에디슨이 전기를 발명해 등장한 스위치가 인간과 기계를 이어주는 사용자환경(UI)의 태곳적 형태라면 현재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터치하는 방식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삼성ㆍ애플 등 세계 유수의 IT 기업들이 포스 터치(Force Touch), 3D 터치 등으로 불리는 압력 감지 기술을 스마트폰에 적용하면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김 대표는 “글로벌 유통망 등을 확대하기 위해서 중국의 한 굴지의 IT 기업과 ‘전략적 제휴’를 맺기 위해 협상 중”이라며 “IT 기업들이 1년여 후면 우리 칩을 장착해 소비자들의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을 내놓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워터스트라이더는 지난해 미래창조과학부가 추진한 글로벌혁신센터(KIC) 프로그램에 선발돼 미 실리콘밸리에 진출했으며, 그해 현지에서 열린 ‘K-Tech 실리콘밸리’에 참가해 공간 터치 기술을 발표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교대가 어쩌다가…'내신 6등급' 입결에 더 현타오는 교사들 [해시태그]
  • 한덕수 단일화 ‘반대 입장’ 한동훈…막판 변수로 작용하나
  • 단독 이커머스 1위 쿠팡, 다음 타깃은 ‘재한외국인’…영어 베타 버전 가동
  • "번호이동 가능한가요?"…SKT 해킹 난리에 또 소외된 노년층 [이슈크래커]
  • “핵심 인재 유출 막는다”…AI 인재 병역특례 길 열리나 [두뇌 유출 下]
  • SKT 유심 교체 28만 명 돌파…해킹 여파에 '탈 SKT' 행렬도
  • 임신 준비 전 건강 체크는 필수…‘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은 [경제한줌]
  • 다 올랐는데 韓 코인은 어디에?…2025년 김치 코인 현주소 [블록렌즈]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585,000
    • +0.16%
    • 이더리움
    • 2,626,000
    • +0.88%
    • 비트코인 캐시
    • 537,500
    • +6.02%
    • 리플
    • 3,284
    • -2.32%
    • 솔라나
    • 214,000
    • -1.88%
    • 에이다
    • 1,024
    • -1.63%
    • 이오스
    • 1,003
    • +1.42%
    • 트론
    • 356
    • +0.28%
    • 스텔라루멘
    • 404
    • -3.8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300
    • -1.8%
    • 체인링크
    • 21,770
    • +0.51%
    • 샌드박스
    • 437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