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총선] 공천파동에 여야 지지율 급락… 국민의당 반사이익

입력 2016-03-28 10:3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공천 파동으로 4·13총선을 앞둔 여야의 지지율이 동반 하락했다. 반면 국민의당은 이에 따른 반사이익으로 지지율이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론조사 전문업체 리얼미터가 지난 21∼25일 전국의 19세 이상 유권자 252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신뢰도 95%, 표본오차 ±2.0%포인트)에 따르면, 새누리당의 정당지지도는 38.3%로 전주보다 3.2%포인트 떨어졌다. 더불어민주당도 전주보다 3.4%포인트 하락해 24.9%를 기록했다. 반면 국민의 당은 1.7%포인트 올라 14.0%를 나타냈다.

여야는 특히 각자의 텃밭에서 지지율 하락이 두드러졌다.

새누리당은 이른바 ‘유승민 고사작전’과 ‘옥새 투쟁’으로 몸살을 앓아 대구·경북(70.0%→56.0%)에서 14.0%포인트 급락했고, 부산·경남·울산(52.8%→47.8%)에선 5.0%포인트 하락했다.

더민주도 김종인 대표의 셀프 공천과 비례대표 논란, 당내 진보적 인사의 공천 컷오프 등으로 내홍을 겪으면서 광주·전라(34.8%→28.7%)에서 6.1%포인트, 대전·충청·세종(31.7%→25.3%)에서 6.4%포인트 떨어졌다.

이에 반해 국민의당의 지지율은 수도권(10.8%→12.9%)과 광주·전라(36.3%→38.6%)에서 각각 상승했다.

차기 대선주자 지지율은 더민주 문재인 전 대표가 전주보다 0.1%포인트 하락한 21.4%로 11주 연속 1위를 차지했고,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14.4%로 2위를 유지했으나 지지율은 전주보다 2.2%포인트 떨어졌다. 3위는 오세훈 전 서울시장으로 전주보다 1.8%포인트 오른 13.8%였다.

탈당 후 무소속 출마를 선언한 유승민 의원에 대한 지지율은 전주보다 1.2%포인트 오른 6.1%를 기록했다.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수행 지지도는 40.1%로 전주보다 1.8%포인트 떨어졌다. 특히 박 대통령의 정치적 고향인 대구·경북에서 지지율이 69.9%에서 55.6%로 14.3%포인트 급락했다.

이번 여론조사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공정심의위원회 인터넷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붕괴 사고' 광명 신안산선 공사현장 밤샘수색…1명 구조·1명 실종
  • 게임에서 만나는 또 다른 일상…‘심즈’의 왕좌 노리는 크래프톤 ‘인조이’ [딥인더게임]
  • 침팬지 탈을 쓰고나온 로비 윌리엄스…'위대한 쇼맨'의 서사 [시네마천국]
  • "이번 주 지나면 내년에 봐야"…올해 마지막 벚꽃 보려면 어디로? [주말N축제]
  • 뉴욕증시, 역사적 급등락 주간 강세로 마무리…나스닥 2.06%↑
  • 서울 지하철로 떠나는 벚꽃 여행
  • 육사, ‘필기’ 없는 전형 신설…생기부로 평가한다
  •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 공개…넷플릭스, 신작 출격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705,000
    • +0.87%
    • 이더리움
    • 2,319,000
    • +0.87%
    • 비트코인 캐시
    • 457,100
    • +2.7%
    • 리플
    • 3,003
    • +1.69%
    • 솔라나
    • 181,800
    • +4.3%
    • 에이다
    • 927
    • +0.98%
    • 이오스
    • 879
    • -4.87%
    • 트론
    • 364
    • +4.6%
    • 스텔라루멘
    • 346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410
    • +0.24%
    • 체인링크
    • 18,580
    • +0.98%
    • 샌드박스
    • 381
    • +0%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