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중국 소비재시장 점유율이 4.5%에 불과해 품목 다양화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30일 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에 따르면 중국 내수시장에서 한국의 수출액은 2014년 기준 1900억 달러로 선두를 달렸다. 일본은 1623억 달러, 미국 1538억 달러, 독일은 1047억 달러 등으로 집계됐다.
한국의 중국 수출 중 중간재는 1503억 달러로 전체의 79.1%, 소비재는 70억 달러로 3.7%를 차지했다. 일본은 중간재 65%, 소비재 9%로 나타났다. 미국은 중간재 41%, 소비재 13%로 조사됐다. 독일은 중간재 47%, 소비재 21%로 집계됐다.
이에 독일은 중국 소비재 시장의 14.3%를 기록했다. 미국은 13.2%, 일본은 8.9%를 차지했다. 반면 한국은 4.5%로 뒤처졌다.
우리나라의 중국 소비재 시장 점유율은 2011년 5.8%에서 3년 새 1.3%포인트 떨어졌다. 중국 소비자의 구매력이 올라가며 소비재 수입이 2011년 1081억 달러에서 2014년 1566억 달러로 급증한 것과 역행하는 수치다. 품목 편중도 심해 승용차(18억1200만 달러, 25.8%)와 플라스틱 제품의 수출액은 전체 소비재의 80%에 달한다고 연구소는 지적했다.
연구소는 △승용차 및 소비용 운송장비 △화장품 △의류·패션 △식음료 제품·반제품 △생활용품 △가전제품 등 6가지를 대 중국 유망 소비재 수출품목으로 제시했다.
전세계 수입액 중 소비재 비중은 2012년 21.2%에서 2014년 22.7%로 상승했다. 지난해 우리나라 소비재 수출 비중은 중국(29.8%)이나 독일(26.0%)에 비해 낮은 17.6%를 기록했다. 여기에서 자동차와 핸드폰을 제외하면 수출 비중은 5.5%에 그쳤다.
정부는 상반기 내 화장품, 의약품, 분유 등 유망 소비재별 수출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소비재 고급화를 위한 융합형 연구개발을 확대하고, 개발 상품의 시장 진출을 지원하는 투자세액 공제도 추진한다. 아울러 유망 소비재 산업에 대한 무역보험과 특별대출 프로그램을 가동한다.
박진규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정책관은 “지난해 자동차와 핸드폰을 제외한 소비재 수출이 197억 달러 규모”라며 “올해는 250억 달러, 내년에는 350억 달러로 목표를 잡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