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인물] 4월 26일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명상록’을 남긴 로마제국 철인(哲人)황제

입력 2016-04-26 10:4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조성권 미래설계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모든 것이 마음가짐에 달려 있다. 인간이란 이성을 가진 존재이기 때문에 어떠한 외부의 자극이나 압력에도 굴하지 않을 수 있으며 평정을 누릴 수 있는 존재다.”

로마제국의 제16대 황제인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121.4.26~180.3.17)가 그의 ‘명상록(暝想錄)’에 남긴 말이다. 이 에세이는 금욕과 절제를 중시한 스토아 철학자로서, 고뇌에 찬 한 인간으로서, 황제로서의 자기성찰을 담은 자성록(自省錄)이다. 그는 원래 노예였던 스토아의 철인 에픽테토스의 훈계를 명심해 마음속까지 황제가 되지 않도록 자신을 채찍질해가며 다짐을 기록했다. 그의 명상록 12편은 스토아 철학의 대표적 고전이다. 그가 철인(哲人)황제로 불리는 이유다.

마르쿠스는 안토니누스 피우스 황제의 양자로 입적된 후 그의 뒤를 이어 황제로 즉위하였다. 그는 19년의 재위기간(161~180) 내내 이민족과의 전쟁에 시달렸고 황제가 되어서도 계속해서 전쟁터에 나가야 했다. 그는 원정 전쟁 중 진중에서 명상록을 기록해 남겼다.

로마인들은 로마제국의 최전성기를 다스렸던 다섯 명의 현명한 5현제(五賢帝) 중 그를 마지막 황제로 꼽는다. 당시 로마는 제위 세습 없이 원로원 의원 가운데 가장 유능한 인물을 황제로 지명했다. 그는 자질이 부족한 아들 코모두스에게 혈통세습을 했다. 관례를 깨면서 후계자로 지명한 일은 그의 실책이었다. 허구가 많이 가미됐지만 흥행에 성공했던 영화 ‘글래디에이터’(2000년)의 배경이다.

그는 가장 치열한 전장이었던 도나우 강 막사에서 59세로 병사했다. 그가 죽은 후 로마는 쇠퇴했고 군인황제시대가 도래했다. 훗날 군인 황제들이 즉위할 때마다 “마르쿠스 통치를 본받겠다”고 선언할 정도로 그는 가장 완벽하고 이상적인 황제상으로 여겨졌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망곰이 유니폼, 제발 팔아주세요"…야구장 달려가는 젠지, 지갑도 '활짝' [솔드아웃]
  • "돈 없어도 커피는 못 참지" [데이터클립]
  • K-푸드, 수출 주역으로 '우뚝'…10대 전략산업 넘본다 [K-푸드+ 10대 수출 전략산업②]
  • "서울 집값·전세 계속 오른다"…지방은 기대 난망 [하반기 부동산시장 전망①]
  • 테더 공급량 감소에 '유동성 축소' 위기…FTX, 채권 상환 초읽기 外 [글로벌 코인마켓]
  • 허웅, 유혜원과 열애설 일축…"연인 아닌 친구 관계"
  • 단독 “1나노 공정 준비 착착”…삼성전자, ‘시놉시스’와 1나노 IP 협업 진행 중
  • 셔틀버스 ‘만원’, 접수창구 순조로워…‘무기한 휴진’ 세브란스병원 [가보니]
  • 오늘의 상승종목

  • 06.2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85,697,000
    • -0.96%
    • 이더리움
    • 4,753,000
    • -0.42%
    • 비트코인 캐시
    • 522,500
    • -1.23%
    • 리플
    • 658
    • -1.2%
    • 솔라나
    • 191,400
    • -0.73%
    • 에이다
    • 533
    • -2.91%
    • 이오스
    • 811
    • -0.12%
    • 트론
    • 174
    • -0.57%
    • 스텔라루멘
    • 125
    • -2.3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1,500
    • -2.84%
    • 체인링크
    • 19,300
    • -3.26%
    • 샌드박스
    • 464
    • -1.6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