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계 “일자리 늘리려면 규제개혁이 우선”

입력 2007-07-11 12:4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전경련 “고용보호 벗어나 투자확대 유도해야”

정부의 일자리 창출 정책이 소기의 성과를 거두려면 기존 취업자에 대한 고용보호 정책에서 벗어나, 과감한 규제개혁이 우선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경련은 최근 자체 발간한 보고서 ‘일자리 창출 정책 평가와 과제’를 통해 “과감한 규제개혁을 통해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높이고 기업의 투자확대를 유도함으로써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어내는 방향으로 전환해야 한다”이 이같이 강조했다.

◆고용창출 외환위기 이전 수준 못 미쳐

전경련은 보고서에서 “정부가 2004년 당시 향후 5년간 200만개 일자리를 만든다는 종합대책을 수립했지만, 일자리 증가 실적은 2004년 41.8만개에서 2006년 29.5만개로 줄어들어 외환위기 이전 연평균 40~50만개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정부 일자리 창출 정책이 당초 목표에 미달한 원인으로 ▲일자리사업 예산집행의 효율성 부족 ▲고용안정 대책과 일자리 창출 정책과의 상충 ▲고용촉진 산업구조로의 개편 부진 등을 지적했다.

정부가 OECD 평균보다 부족한 사회서비스 공급 확대를 위해 많은 예산을 투입하여 고용 비중을 늘리려 했지만, 부가가치가 높은 시장을 형성하지 못하여 결국 정부제공 일자리들이 일회성으로 끝난 경우가 많았다는 것이다.

또한 전경련은 비정규직 보호법으로 대표되는 기존 취업자에 대한 과보호정책이 정부의 신규 일자리 창출 정책과 모순된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보고서는 정부가 고용창출형 산업기반 형성을 위해 발표한 '중소기업 경쟁력강화 종합대책(2004.7)', '기업환경개선 종합대책(1차 2006.9, 2차 2007.6)', '서비스산업 경쟁력강화 종합대책(2006.12)' 등도 재점검해 투자환경 조성 차원에서 과감한 규제개혁을 추진해야 할 것을 요구했다.

◆임금의존형 소득구조 개선해야

특히 전경련은 “사업주가 부담하는 인건비 안에 사회보장 성격의 비용이 상당부분 포함되어 있다”고 지적하고 “국가가 운용하는 사회보장제도의 실질적 소득지원 효과가 제고되어야 임금에만 전적으로 의존하는 우리나라 근로자의 소득구조도 개선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이 경우 각종 사회적 부담과 생산성과 연계되지 못한 인건비 상승 때문에 기업들이 신규고용을 회피하는 악순환도 해소될 수 있으며, 나아가 고용시장의 유연성도 확보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송민호·나인우·박서진…‘말 나온’ 스타의 군 복무 [해시태그]
  • ‘숨만 쉬어도’ 돈 필요한 반려동물, 지원 혜택은 없을까? [경제한줌]
  • '롯데리아 안산상록수점'이 비상계엄 작전장소?
  • 나인우 군 면제…'4급 보충역 판정'은 왜?
  • 미국 군 당국 ‘보안규정 위반’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 조사 중
  • '대장' 비트코인 상승에 이더리움도 꿈틀…부활 날갯짓 필까 [Bit코인]
  • 혼다·닛산, 합병 협상 개시…세계 3위 자동차 메이커 탄생 초읽기
  • 방배동 ‘로또 청약’ 당첨 가점 보니… “4인 가족 만점도 턱걸이”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53,046,000
    • -1.17%
    • 이더리움
    • 5,660,000
    • -2.21%
    • 비트코인 캐시
    • 764,500
    • -0.97%
    • 리플
    • 3,690
    • +0.6%
    • 솔라나
    • 317,000
    • +1.64%
    • 에이다
    • 1,502
    • -2.09%
    • 이오스
    • 1,445
    • -2.43%
    • 트론
    • 401
    • -4.52%
    • 스텔라루멘
    • 619
    • +0.65%
    • 비트코인에스브이
    • 89,800
    • -4.01%
    • 체인링크
    • 39,930
    • -2.08%
    • 샌드박스
    • 972
    • -2.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