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별관 청문회 예정대로 8~9일 진행…최경환ㆍ안종범 등 핵심증인 빠져

입력 2016-09-07 19: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홍기택ㆍ최은영 전 회장 출석 미지수

조선ㆍ해운업 부실 원인 규명을 위한 ‘서별관회의 청문회’가 당초 예정대로 8~9일 이틀간 열린다. 이번 청문회에서는 대우조선해양의 부실, 국책은행의 조선ㆍ해운업 지원 문제, 한진해운의 법정관리 이슈가 쟁점이 될 전망이다.

관계부처 장관들의 비공식 회의인 서별관회의와 대우조선 비리 문제, 국책은행의 조선.해운업 지원 문제 등이 이번 청문회의 쟁점이다. 다만 일부 '핵심 증인'이 전직자라는 이유로 빠져있다는 점에서 화살은 현직에게 돌아갈 전망이다.

7일 금융권과 국회에 따르면 8~9일 이틀간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와 정무위원회는 ‘조선ㆍ해운업 구조조정 연석 청문회’를 개최한다.이번 청문회는 기획재정위원회 15명과 정무위원회 15명 등 모두 30명이 선임된 연석청문회라는 점에서 대우조선해양의 특혜지원 의혹과, 조선ㆍ해운업 구조조정 과정에서의 산업은행ㆍ수출입은행 등 국책은행의 지원 적정성 등이 주로 다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대우조선의 전직 경영진의 분식회계와 경영비리 문제도 집중 추궁될 전망이다.

이에 청문회의 증인 명단에는 대우조선해양 비리 의혹과 관련해 50명의 정ㆍ관ㆍ재계 인사들이 이름을 올렸다.

지난달 26일 국회 기재위에서는 대우조선해양 비리 의혹과 연관돼 검찰 수사를 받고 있는 강만수ㆍ민유성ㆍ홍기택 전 산업은행장, 박수환 뉴스컴 대표, 남상태ㆍ고재호 전 대우조선해양 사장 및 정성립 현 사장 등을 증인으로 채택했다.

현직 정부 관료로는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자관, 임종룡 금융위원장, 진웅섭 금융감독원장, 정만기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 강경원 감사원 제1사무차장 등이 증인으로 결정됐다.

다만 지난해 10월 열린 서별관회의 참석자 등 핵심 증인은 빠져있다는 지적이 나온다.서별관회의 멤버인 최경환 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안종범 전 청와대 경제수석의 경우 여당이 강력 반발해 실제 증인 채택으로 이어지지 못했다.

또 ‘서별관 회의 청문회’를 촉발시켰다고 할 수 있는 홍기택 전 산은 회장은 소재 파악이 되지 않고 있어 참석이 불투명하다. 최근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에 한진해운 사태와 관련해 증인으로 채택된 최은영 전 회장과 강덕수 전 STX 회장 등의 청문회 출석도 아직 미지수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바티칸 "전생을 주님·교회에 헌신"
  • 콜드플레이→BTS도 서울 떠난다…'고양'은 왜 스타들의 성지가 됐나 [이슈크래커]
  • “설레발은 필패, 입을 조심해야”…월드컵 역사를 수놓은 김칫국 한마당 [이슈크래커]
  • 음주운전자에게 "음주운전 왜 하세요?" 물어봤더니 [데이터클립]
  • 봉천동 아파트 방화 용의자는 과거 주민…층간소음 이웃 갈등 잦았다
  • 41년째 짜장라면 왕좌 ‘짜파게티’, 그 뒤엔 ‘커피 알갱이’ 기술 있었다[K-라면 신의 한수④]
  • 쏟아지는 중국산…한국行 급류 [무역전쟁 유탄, 반덤핑 쓰나미 上]
  • 서울 토허제 구역 내 입주권도 규제 대상…“준공 후 실거주 2년”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5,229,000
    • +2.77%
    • 이더리움
    • 2,337,000
    • +2.54%
    • 비트코인 캐시
    • 487,600
    • +0.83%
    • 리플
    • 3,043
    • +2.63%
    • 솔라나
    • 199,900
    • +0.96%
    • 에이다
    • 920
    • +3.25%
    • 이오스
    • 927
    • +1.53%
    • 트론
    • 349
    • -1.69%
    • 스텔라루멘
    • 370
    • +5.7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730
    • +1.29%
    • 체인링크
    • 19,320
    • +3.21%
    • 샌드박스
    • 404
    • +5.7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