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 전립선·발기부전 복합치료제, 세계성의학회 최우수 연제상 선정

입력 2016-09-27 16:0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세계성의학회 웨인 헬스트롬 회장(왼쪽)과 가톨릭대 김세웅 교수(오른쪽)가 탐스로신·타다라필 
복합제의 임상부문 최우수 연제상 수상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한미약품)
▲세계성의학회 웨인 헬스트롬 회장(왼쪽)과 가톨릭대 김세웅 교수(오른쪽)가 탐스로신·타다라필 복합제의 임상부문 최우수 연제상 수상 후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제공=한미약품)

한미약품은 개발 중인 전립선비대증∙발기부전 치료 복합제의 임상결과가 세계성의학회에서 임상부문 최우수 연제상에 선정됐다고 27일 밝혔다.

최우수 연제상은 학회에서 가장 우수한 연구성과를 도출한 논문 및 연자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세계성의학회는 2년에 한번씩 학회를 개최할 때마다 기초 부문 1개, 임상 부문 1개씩 최우수 연제상을 선정한다.

올해 20회째를 맞이한 세계성의학회(ISSM)는 매년 비뇨기분야 전문의 등 1000여명이 참석하는 남성과학 분야 최대 학술대회로 22일부터 25일까지 중국 베이징에서 개최됐다.

이번 학회에서 김세웅 가톨릭의대 교수는 양성전립선비대증과 발기부전을 동반한 한국인 남성환자 492명을 총 3개군으로 나눠 타다라필 5mg 단일요법을 대조군으로 탐스로신 0.2mg 및 0.4mg과 타다라필 5mg을 각각 결합한 복합제를 1일 1회 12주간 투약한 임상3상 결과를 발표했다.

발표 내용에 따르면 탐스로신 0.4mg 복합제 투여군에서 대조군 대비 IPSS(국제 전립선 증상 점수)가 약 28% 더 감소됐으며, 성기능 개선 효과는 비열등함을 보였다. 다만, 탐스로신 0.2mg 복합제는 대조군과의 IPSS 개선 효과 비교에서 통계학적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김세웅 교수는 “국내 발기부전 환자 10명 중 8.5명이 전립선 질환을 동반하고 있으며, 실제 진료현장에서도 두 질환을 동반한 환자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며 “두 질환을 동시 치료할 수 있는 약물로는 타다라필 5mg이 있지만, 전립선비대증으로 인한 배뇨장애 처방에는 어려움이 있어 알파차단제와 병용요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김 교수는 “탐스로신 0.4mg과 타다라필 5mg을 결합한 이 복합제(코드명:HCP1303)는 국내 기술로 개발하고 국내 의료진이 임상적으로 입증한 전립선비대증 및 발기부전 치료제”라며 “이 복합제가 출시될 경우, 두 질환을 동반한 환자에게 유용한 치료옵션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미약품 관계자는 “이번 연제상 선정은 한국 비뇨기과의 위상 및 한미약품의 개발능력을 국제적으로 입증하는 계기가 됐다”며 “이 복합제의 임상을 통해 IPSS 감소 및 성기능 개선 효과를 확인했으며, 전립선비대증 및 발기부전을 동반한 환자의 복약순응도를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미국발 상호관세 충격에 코스피·코스닥 5%대 폭락
  • "테슬라는 어떡하라고?"…머스크, 트럼프에 반기 든 이유는 [이슈크래커]
  • 산불 재난 인니 영웅…은혜는 꼭 갚는 한국인 [해시태그]
  • 단독 대상웰라이프, 홈플러스 기업회생 한 달 만에 철수...건기식 매대도 빨간불
  • '고정이하자산' 5조 육박…4곳은 'NPL비율' 70% 넘었다[선 넘은 '신탁사 부실'上]①
  • ‘피의자 윤석열’ 동시다발 수사 밀려온다…재구속 가능성은
  • 국내 or 해외?…5월 연휴 가족여행, 어디로 떠날까 [데이터클립]
  • “탄핵 이슈 소멸, 오로지 美 영향” 환율, 33.7원 급등…“1500원 가능성은 열어야”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7,474,000
    • -1.2%
    • 이더리움
    • 2,323,000
    • -4.48%
    • 비트코인 캐시
    • 411,000
    • -1.6%
    • 리플
    • 2,840
    • -5.11%
    • 솔라나
    • 159,400
    • -1.73%
    • 에이다
    • 864
    • -2.37%
    • 이오스
    • 1,139
    • +1.97%
    • 트론
    • 340
    • -2.86%
    • 스텔라루멘
    • 345
    • -4.9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360
    • -2.06%
    • 체인링크
    • 16,960
    • -1.97%
    • 샌드박스
    • 357
    • +0.5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