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옐런, ‘고압경제론’ 둘러싸고 시험대

입력 2016-12-12 14:2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13~14일(현지시간)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1년 만에 기준금리를 올릴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시장의 관심은 이미 내년 이후 긴축 속도로 옮겨가고 있다. 특히 시장이 주목하는 건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이 지난 10월 언급한 ‘고압경제’를 둘러싼 연준과 도널드 트럼프 차기 대통령의 움직임이다.

‘고압경제(high pressure economy)’는 수요가 공급을 초과해 물가가 오르는 현상을 말한다. 옐런 의장은 대선 전에는 고압경제를 용인하는 게 바람직할 수 있다는 견해를 나타냈다. 물가가 오름세를 지속하거나 연준 목표인 2% 수준을 넘더라도 일시적으로 과열 경기를 용인해 금리인상에는 최대한 신중하겠다는 의미다. 미국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수요가 오랫동안 줄자 기업들이 설비투자를 미루면서 공급 능력이 크게 떨어진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고압경제를 잘 활용하면 노동시장에서 일하는 사람이 늘고, 급여 개선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기업 매출도 증가해 설비 투자가 회복된다. 이에 시장에서는 옐런 의장이 고압경제를 의식해 완화 기조를 오래 끌고 갈 수도 있다는 관측이 우세했다.

그러나 도널드 트럼프의 차기 미국 대통령 당선으로 상황이 달라졌다. 트럼프는 대규모 감세와 인프라 투자 위주의 경기부양책을 약속했다. 이를 통해 3~4% 성장세를 유지한다는 게 트럼프 버전의 고압경제론이다.

이에 연준의 행보에 관심이 집중된다. 연준의 금융정책은 물가와 달러 동향에 크게 좌우되는데, 만일 고압경제를 중시할 경우 연준은 내년 이후에도 금리인상에 신중할 것으로 보인다. 또 한편으로는 재정 투입이 없는 경우에 비해 연준의 부담이 가벼워지므로 금리인상에 속도를 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다만 트럼프 효과로 달러 강세가 더욱 가파라지면 정치적 압력으로 금리인상을 주저하는 상황도 벌어질 수 있다. 그럼에도 인플레이션 예방 차원에서 금리인상을 단행했는데 공교롭게도 트럼프의 경기부양책이 실패로 돌아가면 연준이 희생양이 될 수도 있다.

트럼프와 옐런은 불협화음 속에서 고압경제라는 공통의 상황에 직면했다. 특히 옐런이 연준의 독립성을 유지하면서 트럼프와 협력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뉴진스, 진짜 위약금 안 내도 될까? [해시태그]
  • ‘닥터둠’ 루비니 경고…“부의 보존 원한다면 비트코인 피해야”
  • 고양 소노 감독 폭행 사건 결론…KBL "김승기 자격정지 2년"
  • 딸기 폭탄→대관람차까지…크리스마스 케이크도 '가심비'가 유행입니다 [솔드아웃]
  • 차기 우리은행장에 정진완 중소기업 부행장…'조직 쇄신ㆍ세대 교체' 방점
  • 동물병원 댕댕이 처방 약, 나도 병원서 처방받은 약?
  • “해 바뀌기 전 올리자”…식음료업계, 너도나도 연말 가격인상, 왜?!
  • 고딩엄빠에서 이혼숙려캠프까지…'7남매 부부' 아이들 현실 모습
  • 오늘의 상승종목

  • 11.2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3,919,000
    • -0.91%
    • 이더리움
    • 5,093,000
    • +2.11%
    • 비트코인 캐시
    • 728,000
    • +2.25%
    • 리플
    • 2,607
    • +13.25%
    • 솔라나
    • 336,800
    • -0.85%
    • 에이다
    • 1,516
    • +2.92%
    • 이오스
    • 1,332
    • +13.85%
    • 트론
    • 284
    • +0%
    • 스텔라루멘
    • 740
    • +0.54%
    • 비트코인에스브이
    • 99,150
    • +1.28%
    • 체인링크
    • 25,550
    • +1.75%
    • 샌드박스
    • 911
    • +2.5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