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청, 국립어린이박물관 전시특성화방안 연구용역 보고회 개최

입력 2016-12-16 09:21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청장 이충재, 이하 행복청)은 12일 행정중심복합도시(이하 행복도시) 국립박물관단지 내 건립되는 국립어린이박물관의 ‘전시특성화 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고 16일 밝혔다.

지난 6월 시작해 12월까지 7개월간 진행된 이번 연구용역은 국내외 어린이박물관 전시 사례를 분석하고, 박물관 공간계획과 건립방향을 제시했다. 특히 개별박물관 콘텐츠를 기초로 한 ‘기록’, ‘도시’, ‘건축’, ‘디자인’, ‘문화유산’ 등 과거ㆍ현재ㆍ미래를 통괄하는 테마와 통합주제인 ‘생태ㆍ환경’ 등 전시특성화 방안을 제시했다.

어린이가 ‘미래유망직업’과 관련된 체험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직업체험이 가능하도록 하고, 개방형 구조의 전시실에서 전시ㆍ교육ㆍ체험이 한 장소에서 실현되는 방안도 내놓았다. 이와함께 어린이 전문 자료실을 설치하고, 인근 교육기관, 국책연구기관 등 관계기관 네트워크를 활용해 전문가로부터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받는 방법도 제시됐다.

이번 보고회에는 연구진뿐 아니라 세종시청, 주부모니터단 등도 참여해 국립어린이박물관이 인성, 역사 등을 학습할 수 있는 국립시설로 건립되기를 기대했다. 이에 따라 어린이를 동반한 부모들이 쉴 수 있는 휴게공간 및 편의공간 등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한창섭 행복청 공공건축추진단장은 “국립박물관단지를 한 번 다녀오는 곳이 아니라 매일 다닐 수 있는 공간으로 조성하는 것이 주요과제”라며 “어린이들에게 미래사회에 대한 올바른 가치를 심어주고 다양한 직업체험을 할 수 있는 창의적인 체험형 공간으로 건립하겠다”고 밝혔다.

국립박물관단지는 금강과 제천이 만나는 행복도시 중앙공원의 서남쪽 7만5000㎡의 부지(연면적 7만4856여㎡)에 4552억 원을 투입해 오는 2023년까지 전면 개관할 예정이다. 주요 시설로는 ▲도시건축박물관 ▲국가기록박물관 ▲디자인박물관 ▲디지털문화유산영상관 ▲어린이박물관 등 5개 박물관과 통합수장고, 통합운영센터 등 2개 통합시설이 건립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관세전쟁 공포에 코스피도 4%대 폭락…사이드카 발동
  • '흔들리는 제조망' 다시 짜는 글로벌 생산기지 [공급망 전쟁의 서막①]
  • 단독 獨 거대 병원 그룹도 찾았다…삼성전자, '헬스케어' 확장 가속화
  • '고정이하자산' 5조 육박…4곳은 'NPL비율' 70% 넘었다[선 넘은 '신탁사 부실'上]①
  • 21대 대통령 선거일 6월 3일 유력…내일 국무회의서 확정ㆍ공고
  • “가게에 활기 좀 돌았으면”…탄핵 이후 최대 과제는 경기침체 해소 [르포]
  • 관세 전쟁서 자유로운 K조선, 美 협상 카드 급부상
  • 간밤 울산 남구 선암동 화재 발생…1명 사망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2,481,000
    • -8.68%
    • 이더리움
    • 2,210,000
    • -17.2%
    • 비트코인 캐시
    • 380,600
    • -13.05%
    • 리플
    • 2,480
    • -21.07%
    • 솔라나
    • 146,700
    • -17.35%
    • 에이다
    • 781
    • -17.96%
    • 이오스
    • 1,055
    • -4.52%
    • 트론
    • 335
    • -4.56%
    • 스텔라루멘
    • 305
    • -18.01%
    • 비트코인에스브이
    • 37,220
    • -17.91%
    • 체인링크
    • 15,580
    • -17.26%
    • 샌드박스
    • 326
    • -14.6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