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통계청과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이 공동 발표한 ‘2016 가계금융ㆍ복지조사’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현재 가구당 보유자산은 3억6187만 원, 부채는 6655만 원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한 해 동안 가구는 평균적으로 4883만 원을 벌고, 처분가능소득은 4022만 원을 기록했다.
올 3월 말 현재 가구의 평균 자산은 전년 대비 4.3% 증가한 것으로, 금융자산과 실물자산이 각각 26.0%(9400만 원), 74.0%(2억6788만 원)로 구성됐다. 소득 5분위가구 자산은 전체의 44.7%, 소득 1분위는 6.7%를 점유했다. 가구주 특성별로 보면, 연령대는 ‘50대’, 종사상 지위는 ‘자영업자’ 가구의 자산이 가장 많았다.
가구 소득 증가과 여유자금 발생 시 주된 운용 방법으로는 ‘저축과 금융자산 투자’에 44.3%, ‘부동산 구입’은 27.0%, ‘부채 상환’은 22.7% 순으로 조사됐다. 금융자산 투자의 주된 목적은 ‘노후대책’(55.2%), ‘주택관련’(17.4%), ‘부채상환’(9.6%) 등으로 나타났다.
올해 3월 말 현재 가구의 평균 부채는 전년 대비 6.4% 늘어난 6655만 원으로 집계됐다. 부채는 금융부채 70.4%(4686만 원)와 임대보증금 29.6%(1968만원)로 구성됐다. 소득 5분위가구 부채는 전체의 47.2%, 소득 1분위가구 부채는 전체의 3.9%를 점유했다.
가구주 특성별로 보면, 연령대는 ‘50대’, 종사상 지위는 ‘자영업자’ 가구의 부채가 가장 많았다. 금융부채를 보유하고 있는 가구 중 ‘원리금상환이 부담스럽다’고 응답한 가구는 70.1%로 전년과 유사했다. 금융부채를 보유한 가구 중 가계부채를 ‘상환이 불가능할 것이다’라고 응답한 가구는 6.1%로 전년에 비해 0.9%p 감소했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은 지난해보다 5.5%p 증가한 116.5%이며,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 비율은 2.6%p 늘어난 26.6%로 조사됐다.
지난해 가구의 평균 소득은 4883만 원으로 전년 대비 2.4% 증가했다. 근로소득이 3199만 원(65.5%), 사업소득 1122만 원(23.0%), 공적이전소득 274만 원(5.6%) 등으로 구성됐다.
지난해 소득 5분위 가구의 소득점유율은 45.8%로 전년 대비 0.1%p 감소했다. 공적이전소득은 정부지원에 따라 1분위(356만 원), 2분위(288만 원), 3분위(275만 원)에서 전체 평균(274만 원)보다 높았다.
소득구간별로는 1000만 원 미만은 12.0%, 1000만~3000만 원은 24.7%, 3000만~5000만 원은 24.3%, 5000만~7000만 원은 16.4%, 7000만~1억 원은 13.2%, 1억 원 이상은 9.3%로 나타났다.
지난해 가구의 평균 처분가능소득은 4022만 원으로 전년 대비 2.4%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가구의 평균 비소비지출은 860만 원로 나왔다. 이 중 공적연금ㆍ사회보험료 294만 원(34.2%), 세금 215만 원(25.0%), 이자비용 177만 원(20.6%) 등을 지출했다.
올해 3월 말 기준 시도별 현황을 보면 평균 자산이 높은 지역이 서울, 대구, 경기도 순으로, 지난해의 평균 소득이 높은 지역은 서울, 울산, 경기도 순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균등화 처분가능소득(중위소득 50% 기준) 빈곤율은 16.0%, 빈곤갭은 35.4%로 나타났다. 빈곤율은 전체 인구에서 빈곤선(균등화 소득의 중위소득 50%) 미만인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고 빈곤갭은 빈곤선과 빈곤층의 평균 소득 차이에 대한 상대적 정도를 나타낸다.
연령층별 빈곤율은 아동연령층(18세 미만) 빈곤율이 11.5%로 집계된 가운데 근로연령층(18~65세) 11.1%, 은퇴연령층(66세 이상) 48.1%로 집계됐다.
종사상지위별 빈곤율은 취업자 빈곤율이 10.1%로 가장 높았고 상용근로자 빈곤율 4.1%, 자영업자 12.9%, 임시ㆍ일용근로자 21.8%로 조사됐다.
올해 3월 말 현재, 가구주의 예상 은퇴 연령은 66.9세이고 실제 은퇴한 연령은 61.9세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