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주는’ 문재인·이재명, “안 된다”는 안희정… 野대선주자 ‘포퓰리즘’ 논쟁

입력 2017-01-26 10: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기본소득제’ 공약에 안희정 “시혜적 정책” 비판

야당 대권주자들 사이에서 포퓰리즘 공방이 거세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 박원순 서울시장, 이재명 성남시장 등은 최근 국민의 기본소득을 보장한다는 명분으로 무상으로 현금을 지급하는 공약을 앞다퉈 내놨다. 그러자 안희정 충남지사는 “시혜적 공약”이라고 비판했고, 그의 측근들은 반대 토론회까지 열며 공론화에 나섰다.

문 전 대표는 전체 노인 80%를 대상으로 기초연금을 월 30만 원까지 인상하겠다고 밝혔다. 청년수당은 미취업 청년만 대상으로 월 30만 원을 지급하고, 아동수당은 첫째아이에게 월 10만 원, 둘째·셋째는 각각 월 20만·30만 원을 지급하겠다고 했다. 10조 원의 재원이 필요한 공약이다.

박 시장은 아동·청년·노인에게 월 30만 원을 지급하는 ‘한국형 기본소득제’를 제안했다. 기초연금을 월 30만 원으로 올리고, 18세 이상 장기 실직자(2년 이상)에게는 실업수당을, 질병으로 실·휴직한 이들에겐 건보 재정으로 현금(상병수당)을 주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실현하려면 적게는 연 20조 원에서 많게는 35조 원이 필요하다.

이 시장은 한발 더 나아가 생애주기별, 특수계층에 지급하는 기본소득 100만 원과 국토보유세를 신설해 1인당 130만 원을 지급하겠다고 한다. 연간 28조 원이 들어간다.

세 주자 공약 모두 사실상 증세 없인 불가능한 내용들이다. 그러나 법인세 인상 등 부자증세만 언급할 뿐 보편적 증세에 대해선 모두 입을 닫고 있다.

스웨덴, 덴마크 등 북유럽 국가들이 그랬듯 무상복지는 국가부채만 눈덩이처럼 불렸다. 지난해 스위스에서 모든 국민에게 ‘월 300만 원’을 현금을 지급하는 기본소득법안이 국민투표에 부쳐졌다 부결된 것도 이런 선례를 반복하지 않겠단 의지 때문이었다.

안 지사는 “유권자 지지와 공약을 교환하려는 선거 정책은 시혜적”이라며 “가만히 있어도 무엇을 해주겠다는 방식에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안 지사 측 김종민·조승래 의원은 기본소득 반대 토론회에서 “기본소득은 시기상조이며, 기존 복지제도의 위축을 불러올 수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연준, 기준금리 동결…4.25~4.5%
  • ‘터졌다하면 수백억’…정치권 규제 프레임 갇힌다 [횡령의 땅, 규제의 그림자 下]
  • 어버이날 인사말 고민? 2025 어버이날 문구 총정리
  • "'효심'으로 대하니 만족도도 올라가요" 우리은행 시니어 점포 가보니 [그레이트 시니어 上]
  • 챔스 결승전 대진표 완성…'빅 이어' 주인공은?
  • '골때녀' 월드클라쓰, 4회 우승 저력 어디갔나⋯구척장신에 1-3 패배 '멸망전' 위기
  • 가족사진 무료라더니 앨범·액자 비용 폭탄…가정의 달 사기 주의보 [데이터클립]
  • 김문수-한덕수, 단일화 불발...“다시 만나잔 약속도 없어”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7,959,000
    • +1.32%
    • 이더리움
    • 2,582,000
    • +0.82%
    • 비트코인 캐시
    • 523,000
    • +1.65%
    • 리플
    • 3,025
    • -0.72%
    • 솔라나
    • 209,700
    • +0.91%
    • 에이다
    • 953
    • +0%
    • 이오스
    • 1,150
    • +17.95%
    • 트론
    • 353
    • +1.44%
    • 스텔라루멘
    • 370
    • -0.54%
    • 비트코인에스브이
    • 52,200
    • +1.56%
    • 체인링크
    • 19,670
    • +1.24%
    • 샌드박스
    • 391
    • +2.3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