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한길 “3자 단일화, 날짜 없어 어려울 것…국민도 당혹”

입력 2017-04-25 10:2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지금 상태에서 바람직하지 않아”

▲국민의당 소속 김한길 전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24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이촌동 개인사무실에서 기자 간담회를 하기위해 입장 하고 있다.(연합뉴스)
▲국민의당 소속 김한길 전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24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이촌동 개인사무실에서 기자 간담회를 하기위해 입장 하고 있다.(연합뉴스)

국민의당 소속 김한길 전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는 25일 바른정당의 안철수ㆍ홍준표ㆍ유승민 후보 간 3자 원샷 단일화 제안 결정에 대해 “날짜가 너무 없어서 아마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김 전 대표는 이날 MBC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지금 상태에서 여야 단일화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전 대표는 지금까지 몇 번의 TV 토론을 통해서 그분들이 생각하는 바가 무엇이 얼마나 다른가를 충분히 보여줬다”면서 “그런데 갑자기 다 합치자, 그런 결의를 했다는 말씀이냐”고 되물었다.

또 “과거 노무현 후보와 정몽준 후보의 단일화를 성사시킨 경험이 있는 만큼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와의 단일화에) 긍정적이지 않느냐”라는 사회자 질문에는 “그때는 야 대 야 후보의 통합이었고, 통합하는 과정에 정책을 조율하는 과정이나 단일화 과정에 대해 오랜 기간 협상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김 전 대표는 전날 기자회견을 열고 안 후보를 돕기로 했다고 밝힌 데 대해선 “갑자기 결심한 것은 아니고 안 후보나 선거대책위원회 분들과 계속 소통해 왔다”라면서 “뒤에서 돕고 있었던 셈인데 최근 들어 이 상황이 여의치 않아 보여 이제 적극적으로 앞에 나서서 도와야 되겠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김 전 대표는 지난해 4ㆍ13 총선 당시에 불출마 선언한 이후로는 정치적 칩거 상태였던 김한길 전 대표가 안철수 후보를 적극 지원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바 있다.

그는 또 현재의 선거 판세와 관련해 “남은 한쪽이 만만치 않은 세력이다. 우리가 패권세력이라고 말하고 있지만 이 세력하고 싸우는 것은 쉽지 않은 싸움”이라면서도 “지금 지지율 조정기를 맞고 있는 만큼 (조정기를) 잘 넘기면 우리가 승리할 수 있다”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기지개 켜는 석유화학, 1분기 흑자 전환 보인다
  • 챔피언스리그 4강 대진표 반 채워졌다…진출팀은?
  • 삼성전자, 14억 인도시장 공략... AI 기반 원격 AS 도입
  • 인천 부평역 앞 횡단보도 땅꺼짐…차량 통제 중
  • 단독 금감원 1332 '원스톱 연결 시스템' 도입…서민금융 상담 쉬워진다
  • 美 FDA, 동물실험 폐지 수순…‘오가노이드·장기칩’ 뜬다
  • 비교 대상이 오타니?…“우리도 이정후 있다” [해시태그]
  • 기관이 주도하는 폭력의 시대…개미들은 어떻게 살아남아야 하나 [블록렌즈]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6 12:0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170,000
    • -0.9%
    • 이더리움
    • 2,326,000
    • -1.61%
    • 비트코인 캐시
    • 465,800
    • -0.7%
    • 리플
    • 3,038
    • -1.91%
    • 솔라나
    • 184,800
    • -1.49%
    • 에이다
    • 894
    • -3.25%
    • 이오스
    • 873
    • -2.57%
    • 트론
    • 368
    • +0.82%
    • 스텔라루멘
    • 345
    • -1.4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460
    • -1.17%
    • 체인링크
    • 17,980
    • -1.86%
    • 샌드박스
    • 362
    • -2.9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