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13인’ 집단 탈당에 “9일 국민 선택 받겠다”

입력 2017-05-02 11:5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바른정당 의원 13명이 2일 탈당을 선언했다. 유승민 후보는 이에 개의치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탈당 13인’은 곧장 자유한국당에 입당해 홍준표 후보 지원에 나설 전망이다.

이날 탈당 소식을 접한 유 후보는 “가슴 아프게 생각한다”며 “같이 어렵고 힘든 길을 가고 싶었는데 그런 결정을 할 수밖에 없었던 그분들 심정도 제가 이해하고, 저의 부덕한 부분도 분명히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저는 8일 밤 12시까지 많은 국민을 만나 끝까지 제가 선거에 출마한 이유, 제가 대통령이 되려는 이유, 또 대통령이 돼서 하고 싶은 일을 말씀 드리고 9일 국민 선택 받겠다”며 단일화에 응할 뜻이 없음을 명확히 했다.

유 후보는 당내 단일화 요구와 탈당 움직임에 대해 “(보수후보)단일화 할 생각이 없다”며 대선 독자완주 의사를 분명히 전달했다.

앞서 바른정당 권성동·김재경·김성태·김학용·박순자·박성중·여상규·이진복·이군현·장제원·홍문표·홍일표·황영철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탈당을 선언했다. 이들과 함께 탈당할 것으로 알려진 정운천(전북 전주시을) 의원은 지역구에 내려가 당원들과 논의한 뒤 직접 발표할 것으로 알려졌다.

발표문을 낭독한 홍문표 의원은 “오늘 바른정당 소속 국회의원 13명은 보수 단일화를 통한 정권 창출을 위해 바른정당을 떠나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를 지지하기 위해 이 자리에 함께한다”며 탈당의 변을 밝혔다.

홍 의원은 “전날 3인의 공동선대위원장단이 유 후보를 만나 최종적으로 보수 단일화를 설득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며 “7일 앞으로 다가온 선거에서 홍준표 후보의 승리를 위해 보수가 대통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과거와 서로에 대한 아픈 기억은 다 잊고 대동단결하기를 이 자리를 빌려 촉구한다”며 보수 후보 단일화를 거듭 강조했다.

기자회견 직후 황영철 의원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에 대한 입장’에 대한 질문에 “우리가 결정하고 행동해온 것에는 변함이 없다”며 “이 시점에서는 보수 대통합과 보수 승리를 위해서 새롭게 해야 한다는 것이 국민의 요구이자 지지자들의 요구”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發 관세전쟁에 코스피 시총 지각변동...한화에어로 현대차 맹추격
  • "이 핑계로 미루고, 저 핑계로 늦추고"…개점휴업 연금특위
  • 공천 개입에 도이치 주가조작까지…檢, 김여사 조사 초읽기
  • 주말에도 SKT 대리점 곳곳 긴 줄…PASS 앱 먹통
  • 카카오, 드디어 AI '카나나' 첫 선…분위기 반전 노린다
  • 올해 교대 수시, 내신 6등급도 합격·신입생 미충원 속출
  • 막 오른 위성통신 경쟁…스타링크·원웹 韓 진출 임박, 아마존은 아직
  • 1분기 서울 아파트 거래량 2만건 육박…2021년 이후 최대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006,000
    • -0.26%
    • 이더리움
    • 2,603,000
    • +0.12%
    • 비트코인 캐시
    • 511,500
    • -4.39%
    • 리플
    • 3,144
    • -1.81%
    • 솔라나
    • 212,800
    • -2.7%
    • 에이다
    • 1,011
    • -3.53%
    • 이오스
    • 982
    • -4.57%
    • 트론
    • 363
    • +2.54%
    • 스텔라루멘
    • 411
    • -3.29%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650
    • -2.23%
    • 체인링크
    • 20,930
    • -4.12%
    • 샌드박스
    • 437
    • -3.7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