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요타, 英 정부 향해 “브렉시트 안개 걷어라”

입력 2017-10-26 13:4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영국에 공장을 둔 도요타 자동차가 영국 정부에 브렉시트 불확실성 해소를 요구했다. AP/연합뉴스
▲영국에 공장을 둔 도요타 자동차가 영국 정부에 브렉시트 불확실성 해소를 요구했다. AP/연합뉴스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브렉시트) 협상이 양측의 입장 차이로 난항을 겪는 가운데 일본 도요타자동차가 영국 정부를 향해 불확실성을 해결하라고 요구했다.

25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영국에 공장을 둔 도요타자동차의 디디어 레로이 유럽법인 회장이 “브렉시트가 매우 큰 불확실성을 유발했다”고 말했다며 공장 운영 재검토까지 언급했다고 전했다.

도요타는 영국 더비셔 버나스톤에 세운 공장에서 유럽 수출량의 80~85%를 생산하고 있다. EU와 영국의 무역 관세 협상에 따라 관세 등 추가 패널티를 받게 될 가능성을 고민하는 이유다.

영국은 2019년 3월 EU를 탈퇴할 예정이다. 지금까지 영국과 EU간 브렉시트 협상이 5차례 진행됐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아무런 합의 없이 영국이 EU를 탈퇴하는 ‘노 딜(NO DEAL) 시나리오’까지 거론되는 상황이다.

레로이 회장은 이날 도쿄 모터쇼에서 기자들에게 “수입관세·무역세 등은 제품의 경쟁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유럽 시장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없다면 버나스톤 공장의 미래를 재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영국의 브렉시트 결정에도 올해 초 도요타는 버나스톤 공장 개선을 위해 2억3400만 파운드를 투자했다. 영국 정부가 브렉시트로 인한 자동차 산업의 위축을 막기 위해 2억1300만 파운드 대출을 지원한 덕이다. 버나스톤 도요타 공장은 연간 18만 대를 생산하고 있다. 도요타와 닛산, 혼다는 지난해 영국 자동차 생산량 1700만 대의 절반 가량을 생산하고 있으며 1만6000명을 고용했다.

레로이 회장은 “도요타는 버나스톤에 투자해 경쟁력을 높이고 장기적으로 영국에서 일자리를 유지하는데 중점을 두었지만 지금은 정부가 이를 끌어올릴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영국 정부는 협상의 결과가 무엇인지 모르는 안갯속에 우리가 머무를 수 없음을 일아야 한다”면서 “미래를 준비할 수 있게 가능한 빨리 명확해지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도요타를 비롯한 글로벌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영국뿐만아니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탈퇴 위협에 멕시코에서도 불확실성에 시달리고 있다. 전날 도요타는 멕시코 과나후아토 공장의 생산량을 반으로 줄이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發 관세전쟁에 코스피 시총 지각변동...한화에어로 현대차 맹추격
  • "이 핑계로 미루고, 저 핑계로 늦추고"…개점휴업 연금특위
  • 공천 개입에 도이치 주가조작까지…檢, 김여사 조사 초읽기
  • 주말에도 SKT 대리점 곳곳 긴 줄…PASS 앱 먹통
  • 카카오, 드디어 AI '카나나' 첫 선…분위기 반전 노린다
  • 올해 교대 수시, 내신 6등급도 합격·신입생 미충원 속출
  • 막 오른 위성통신 경쟁…스타링크·원웹 韓 진출 임박, 아마존은 아직
  • 1분기 서울 아파트 거래량 2만건 육박…2021년 이후 최대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093,000
    • -0.26%
    • 이더리움
    • 2,607,000
    • +0.08%
    • 비트코인 캐시
    • 511,000
    • -4.4%
    • 리플
    • 3,139
    • -2.36%
    • 솔라나
    • 213,200
    • -2.65%
    • 에이다
    • 1,010
    • -3.81%
    • 이오스
    • 986
    • -3.99%
    • 트론
    • 363
    • +2.54%
    • 스텔라루멘
    • 410
    • -3.76%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450
    • -2.23%
    • 체인링크
    • 21,000
    • -4.07%
    • 샌드박스
    • 438
    • -3.7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