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e모저모] ‘조두순 출소 반대’ 국민 청원에 입 연 청와대…“재범 방지 위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입력 2017-12-07 10:57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청와대가 ‘조두순 출소 반대’ 국민 청원에 대해 조두순의 처벌을 더 강화하기 위한 재심 청구는 법적으로 불가능하지만 전자발찌 착용, 주거제한 등 24시간 관리로 재범을 방지하겠다는 공식 입장을 내놨다. 또한 조두순이 출소하면 얼굴과 전신 사진, 주거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은 6일 청와대 SNS 라이브인 ‘11시 50분 청와대입니다’에 출연해 징역 12년형을 선고받고 복역 후 2020년 12월 석방되는 조두순의 출소를 반대한다며, 재심을 통해 무기징역으로 처벌을 강화해 달라는 청원에 대해선 “재심은 유죄 선고를 받은 범죄자가 알고 보니 무죄이거나 죄가 가볍다는 명백한 증거가 발견된 경우에만 청구할 수 있다”고 전했다.

다만 조 수석은 “조두순은 출소하게 되면 전자발찌라는 위치추적 전자장치를 7년간 부착하고 5년간 신상정보를 공개해야 한다. 이 신상정보에 조두순의 얼굴도 포함될 것”이라며 “특정 시간 외출제한 및 특정 지역·장소 출입금지, 주거지역 제한, 피해자 등 특정인 접근 금지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조두순의 주민등록상 거주지, 실제 거주지, 얼굴 사진과 전신 사진, 성폭력 전과(죄명·횟수) 등은 출소 후 여성가족부에서 운영하는 ‘성범죄자 알림e’를 통해 공개된다.

네티즌들은 여전히 조두순 출소에 대한 불안감은 있지만 재범 방지를 위한 정부의 철저한 관리를 요구했다.

네이버 아이디 ‘mmmb****’는 “24시간 보호관찰한다지만 그게 잘 이뤄질지 의구심이 든다. 이런 강력범죄는 재범률이 높은 만큼 전자발찌 정도로는 안 된다. 2차 피해자가 나오지 않도록 정부의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네이버 아이디 ‘gobb****’는 “성범죄자 알림e에 조두순이 출소하게 되면 출소 직전의 사진을 올려달라. 그래야 재범을 막을 수 있다. 이제 주취감경도 공식적으로 사라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바티칸 "전생을 주님·교회에 헌신"
  • 콜드플레이→BTS도 서울 떠난다…'고양'은 왜 스타들의 성지가 됐나 [이슈크래커]
  • “설레발은 필패, 입을 조심해야”…월드컵 역사를 수놓은 김칫국 한마당 [이슈크래커]
  • 음주운전자에게 "음주운전 왜 하세요?" 물어봤더니 [데이터클립]
  • 봉천동 아파트 방화 용의자는 과거 주민…층간소음 이웃 갈등 잦았다
  • 41년째 짜장라면 왕좌 ‘짜파게티’, 그 뒤엔 ‘커피 알갱이’ 기술 있었다[K-라면 신의 한수④]
  • 쏟아지는 중국산…한국行 급류 [무역전쟁 유탄, 반덤핑 쓰나미 上]
  • 서울 토허제 구역 내 입주권도 규제 대상…“준공 후 실거주 2년”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1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5,075,000
    • +2.43%
    • 이더리움
    • 2,337,000
    • +1.65%
    • 비트코인 캐시
    • 489,200
    • +1.51%
    • 리플
    • 3,039
    • +2.01%
    • 솔라나
    • 200,300
    • -0.74%
    • 에이다
    • 922
    • +2.79%
    • 이오스
    • 937
    • +4%
    • 트론
    • 349
    • -1.13%
    • 스텔라루멘
    • 371
    • +5.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2,020
    • +2.41%
    • 체인링크
    • 19,320
    • +2.11%
    • 샌드박스
    • 405
    • +6.0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