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통령, 베트남ㆍUAE 순방 귀국…‘한반도 신경제지도’ 밑그림 그려

입력 2018-03-28 10:5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수출ㆍ투자 중심 세일즈 외교 벗어나…기술공유ㆍ공동 시장진출 ‘相生 협력’

▲베트남과 UAE 순방 일정을 마친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와 28일 오전 경기 성남 서울공항을 통해 귀국하고 있다.(뉴시스)
▲베트남과 UAE 순방 일정을 마친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와 28일 오전 경기 성남 서울공항을 통해 귀국하고 있다.(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오전 5박 7일간의 베트남·아랍에미리트(UAE) 국빈 방문을 마치고 귀국했다. 문 대통령은 귀국하자마자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으로부터 국정 상황을 보고받고 주요 현안을 점검한 뒤 관저에서 하루 휴식에 들어갔다.

귀국 전 문 대통령은 27일 UAE 마지막 일정으로 두바이를 방문해 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 막툼 UAE 총리 겸 두바이 통치자를 면담했고 한·UAE 비즈니스 포럼에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문 대통령은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 나하얀 아부다비 왕세제와 정상회담을 하고 ‘특별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양국관계를 격상하기로 합의했다”며 “우리는 서로의 비전을 공유하고 경제협력을 기반으로 모든 분야에서 특별한 관계가 돼 새로운 100년을 함께 열어가자고 약속했다”고 강조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무함마드 왕세제와 UAE 바라카 원전 건설을 넘어 재생에너지와 에너지산업 분야의 협력을 확대하기로 하고 제3국에 대한 공동 진출까지 함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 양국은 반도체, 정보통신, 우주개발 분야에서 공동 연구개발, 기술제휴, 인력양성을 함께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양국은 격년제로 운영됐던 한·UAE 경제공동위원회도 매년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문 대통령은 “한국은 이제 UAE가 열어갈 새로운 100년을 향한 힘찬 여정에 든든한 형제이자 친구로서 함께할 것이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한·UAE 비즈니스 포럼에서 연설한 것처럼 이번 UAE 방문에서 외교·안보 강화를 넘어 석유·가스 분야에서 250억 달러 규모의 신규 협력사업을 추진하기로 하는 등 경제적 성과도 거뒀다.

문 대통령이 구상한 ‘한반도 신(新)경제지도’의 첫 단추를 UAE 순방에서 이뤄내 외교 다변화와 신경제지도 확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는 계기가 됐다.

또 문 대통령은 베트남 순방에서 2020년까지 양국 교역액을 1000억 달러로 늘리는 구체적 액션플랜을 담은 ‘한·베트남 미래지향 공동선언’을 채택해 ‘신(新)남방정책’의 닻을 올렸다.

이번 순방에서 주목할 점은 문 대통령은 전통산업과 수출·투자에 집중했던 기존 세일즈 외교의 틀을 벗어나 기술공유와 공동 시장진출 등 ‘상생협력’을 이끌어낸 점이다. 특히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미래지향적 협력관계’를 베트남과 UAE에서 합의한 점도 향후 문 대통령이 그리는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을 잘 드러내고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중 관세 125%·나머지는 유예”…트럼프 상호관세 美·中 2파전 재편
  • 단독 NH농협ㆍ부산銀, 연내 ‘외국인 특화 창구’ 신설 [블루오션 외국인금융]
  • [종합] 헌재 “박성재, 내란 가담 증거 없다”…탄핵소추 전원일치 기각
  • 주식왕은 누구?…‘1조 클럽’ 총수들의 주식 성적표 [그래픽 스토리]
  • “술 먹기 좋지만 씁쓸하네”…물가상승·불황에 술값 경쟁 나선 자영업자들 [이슈크래커]
  • 트럼프 '관세 유예'에 美 증시 폭등했지만…씁쓸한 '뒷맛'? [이슈크래커]
  • 이낙연 등판 임박?…출마 시점은 [종합]
  • “야구 유니폼 못 구했다면 이곳으로”…외국인도 찾는 KBO스토어 논현점 [가보니]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0,900,000
    • +4.44%
    • 이더리움
    • 2,354,000
    • +5.66%
    • 비트코인 캐시
    • 435,000
    • +6.02%
    • 리플
    • 2,958
    • +7.68%
    • 솔라나
    • 169,000
    • +5.76%
    • 에이다
    • 924
    • +8.07%
    • 이오스
    • 981
    • -2.1%
    • 트론
    • 358
    • +3.47%
    • 스텔라루멘
    • 346
    • +4.2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000
    • +4.43%
    • 체인링크
    • 18,230
    • +6.55%
    • 샌드박스
    • 374
    • +3.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