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년간 주식 공매도 시장에서 개인투자자의 거래 비중이 0.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한국거래소 공매도 종합 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9월까지 1년간 코스피와 코스닥을 합친 전체 공매도 거래에서 개인이 차지하는 비중은 0.7%에 그쳤다. 외국인의 비중은 69.4%, 기관은 29.9%로 나타났다.
코스피 시장의 공매도 거래대금은 88조1261억 원으로 이 가운데 개인 거래대금은 4307억 원(0.5%)에 불과했다. 반면 외국인 투자자의 거래 비중은 68.2%, 기관투자자는 31.3%였다. 같은 기간 코스닥시장의 공매도 거래대금(32조746억 원) 중 개인 거래대금은 3632억 원으로 1.1%에 불과했다. 외국인 비중은 72.5%에 달했고 기관은 26.3% 수준이었다.
공매도는 주가 하락이 예상되는 종목의 주식을 빌려서 매도한 뒤 실제로 주가가 내려가면 싼값에 다시 사들여 빌린 주식을 갚아 차익을 남기는 투자 기법이다. 법적으로는 개인투자자도 공매도 거래가 가능하지만 신용도 등 현실적인 문제로 주식대여 자체가 거의 불가능한 상황이다.
이에 개인투자자들은 공매도 시장이 기울어진 운동장이라고 지속적으로 비판해왔다. 공매도가 이른바 ‘큰손’들에 의해서만 이뤄지면서 순기능보다는 주가 하락을 부추기는 역기능을 해 시장을 어지럽힌다며 폐지를 촉구하는 목소리도 작지 않다.
최근 1년간 증시 전체 거래대금 2923조9637억 원 중 공매도 거래대금은 120조2007억 원으로 4.1% 수준이다. 코스피 시장의 공매도 거래대금이 5.5%로 코스닥시장(2.4%)보다 컸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에는 코스피 시장에서 공매도 거래 비중이 6%, 코스닥 시장은 1.9% 수준이었다. 같은 기간 일본(38.7%), 미국(40.3%) 등 해외 주요 증시보다 매우 낮은 수준이다.
금융위는 공매도 제도가 하락장에서 증시 유동성을 높이고 제 가격을 빠르게 찾아주는 순기능이 있다며 폐지보다는 개선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지난 5월에는 개인이 공매도로 대여 가능한 주식 종목과 수량을 확대하는 방안을 한 차례 발표했다.
그러나 여전히 개인의 공매도 거래 여건이 나아지지 않았다는 지적에 최종구 금융위원장은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다시 형평성을 높일 방법을 찾아보겠다고 밝힌 상황이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환경이 조성된다면 개인투자자도 공매도 전략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지금은 주식대여 가능 물량이 턱없이 부족한데 그것을 확대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황 연구위원은 “기관이 개인에게 직접 주식을 빌려주는 것은 신용 문제 등을 고려하면 불가능해 보이지만 이 경우 주식을 빌려줄 때 개인과 기관 사이에서 신용위험을 흡수하는 역할을 할 다른 기관이 필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