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일파마홀딩스, 子회사 4대 신약개발 수혜 볼까?

입력 2018-11-01 10:16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제일약품의 신약개발이 탄력을 받으면서 자본시장에서 모(母)기업 제일파마홀딩스의 수혜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제일파마홀딩스는 제일약품 지분 13.5%의 최대주주다. 지주사 전환 막바지에 이르고 있는 제일파마홀딩스는 향후 제일약품과의 주식스왑을 통해 지분율을 30% 이상으로 끌어올릴 예정이다. 지주사 요건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자회사 지분율이 30%를 넘어서야 하기 때문이다.

제일약품은 10개 이상의 신약개발 파이프라인을 보유중에 있으며, 그 중 4가지 글로벌 신약에 대한 현 임상단계를 연내 마무리하기 위해 연구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우선, 세계 첫 사례로 주목 받는 뇌졸중 신약(JPI-289)은 임상2a 코호트2가 지난 9월 종료됐다. 현재 CRO(임상 시험 수탁 기관)업체를 통한 데이터검증과 데이터베이스 락업이 최근 마무리 됐다.

이후 임상데이터 분석 및 평가를 거쳐 오는 연내 임상관련 공식 중간 분석 리포트가 나오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예정된 일정이 변경되지 않고 진행된다면 2019년 1월 글로벌 헬스케어 컨퍼런스에서 임상 결과를 공개하고 글로벌 빅파마들과 라이센싱 아웃에 대한 협의가 순조롭게 진행될 예정이다.

글로벌 표적 항암제 신약으로 주목 받고 있는 JPI-547은 현재 임상1a 코호트 4까지 완료됐다. 내년 임상1b 진입을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으며 1a상 결과가 좋아 회사 내부적으로 기대감이 커져 있는 상태다.

최근 유럽임상 승인을 획득한 위식도 역류질환 신약(JP-1366)은 내년 초부터 유럽에서 1회 또는 반복투여 임상 1상 진행을 계획하고 있다. 회사측은 내년에는 국내 임상2상 진입과 유럽1상을 투트랙으로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최근 전임상시험이 완료된 경구형 1형 당뇨 치료신약(JP-2266)은 연내 임상 1상 IND 신청을 추진, 내년 임상시험에 진입한다는 계획이다. 현재까지 경과가 좋아 정부의 신약개발 지원도 이어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제일약품 관계자는 "자회사 제일약품의 4대 신약개발이 상용화되면, 모기업인 제일파마홀딩스가 보유하고 있는 제일약품 지분 가치 평가이익이 늘어나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현재 뇌졸중 환자의 7% 수준에 이르는 치료제의 실적이 1조 원을 넘어서고 있어 전체 시장규모는 10조 원을 넘어서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며 "1형 당뇨 인슐린 시장은 30조 원, 대장암과 비소세포폐암 시장이 현재 각각 10조 원에 이른다"고 분석했다.

특히 그는 "세계적으로 2번째 신약이 될 가능성이 있는 위식도역류은 25조 원 규모의 시장을 타깃으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흔들리는 제조망' 다시 짜는 글로벌 생산기지 [공급망 전쟁의 서막①]
  • 단독 獨 거대 병원 그룹도 찾았다…삼성전자, '헬스케어' 확장 가속화
  • '고정이하자산' 5조 육박…4곳은 'NPL비율' 70% 넘었다[선 넘은 '신탁사 부실'上]①
  • “원전·자동차 관련주 타격 불가피…원화 강세로 외국인 유입 기대”[증시 긴급진단]
  • “가게에 활기 좀 돌았으면”…탄핵 이후 최대 과제는 경기침체 해소 [르포]
  • 관세 전쟁서 자유로운 K조선, 美 협상 카드 급부상
  • 간밤 울산 남구 선암동 화재 발생…1명 사망
  • SK하이닉스, 1분기 호실적 기대감 속 올해 '관세' 변수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7 09:0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6,799,000
    • -5.18%
    • 이더리움
    • 2,363,000
    • -11.3%
    • 비트코인 캐시
    • 407,100
    • -9.29%
    • 리플
    • 2,860
    • -9.47%
    • 솔라나
    • 158,100
    • -11.03%
    • 에이다
    • 856
    • -11.39%
    • 이오스
    • 1,063
    • -4.23%
    • 트론
    • 344
    • -1.99%
    • 스텔라루멘
    • 338
    • -9.1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020
    • -12.58%
    • 체인링크
    • 16,810
    • -11.2%
    • 샌드박스
    • 346
    • -10.5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