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포그래픽] 방탄소년단‧엑소‧워너원…지하철을 점령한 아이돌

입력 2018-12-11 17:1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방탄소년단의 생일을 축하합니다", "이 소년을 응원해주세요", "엑소와 만난 지 어느덧 6년"

지하철 곳곳이 아이돌로 가득 찼습니다. 출퇴근길 지하철 역내 큰 전광판 곳곳에서 환하게 웃는 아이돌을 심심찮게 만나볼 수 있는데요. 이제는 전동차 내부가 방탄소년단과 엑소의 사진으로 온통 래핑된 광고까지 등장했습니다.

지하철 광고 대행사 관계자에 따르면 집행 광고의 약 50%가 아이돌 팬덤이 차지할 만큼, 그들은 VIP 고객으로 자리 잡았는데요. 한 때 대세였던 '성형 광고'를 밀어낸 '아이돌 광고', 그 규모는 어느 정도일까요? 지하철을 점령한 '아이돌 광고'를 인포그래픽으로 정리했습니다.



[인포그래픽] 방탄소년단‧엑소‧워너원…지하철을 점령한 아이돌


◇지하철 광고 ‘VIP 고객’이 된 아이돌 팬덤

△지하철 아이돌 광고 건수(출처= 서울교통공사)

2014년 76건

2015년 231건

2016년 542건

2017년 1038건

2018년(~9월) 1576건

-2017년 ‘프로듀스101 시즌 2’ 방송 이후 급격 증가 (전년 대비 92% 상승)

-2018년 3분기 통계로만 전년 대비 50% 이상 증가

◇지하철 광고 자리는 어디?

스크린 도어, 조명 광고판, 역내 포스터, 전동차 액자, 전동차 래핑

-3월 엑소 시우민 생일을 기념해 팬들이 지하철 7호선 8량 전체를 시우민 사진으로 래핑

-11월 방탄소년단 멤버 진의 생일과 새해를 기념해 팬들이 2호선 215열차 5호칸을 방탄소년단 관련 사진으로 래핑

◇지하철 광고판, 가격은?

(출처=서울교통공사, 지하철 광고 대행사)

△스크린 조명광고 (1개월 기준)

1호선 200만~300만 원

2호선 150만~450만 원

3호선은 150만~350만 원

4호선은 150만~400만 원

5~8호선 90만~145만 원

△광고료가 가장 비싼 서울 지하철역

삼성역, 강남역, 홍대입구역, 신촌역→약 450만 원

◇내 아이돌은 여기에…인기 많은 역 (출처=서울교통공사)

(2017년 기준)

삼성역 200건

건대입구역 91건

합정역 84건

잠실역 66건

홍대입구역 60건

압구정역 53건

청담역 50건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대중 관세 125%·나머지는 유예”…트럼프 상호관세 美·中 2파전 재편
  • 단독 NH농협ㆍ부산銀, 연내 ‘외국인 특화 창구’ 신설 [블루오션 외국인금융]
  • [종합] 헌재 “박성재, 내란 가담 증거 없다”…탄핵소추 전원일치 기각
  • 주식왕은 누구?…‘1조 클럽’ 총수들의 주식 성적표 [그래픽 스토리]
  • “술 먹기 좋지만 씁쓸하네”…물가상승·불황에 술값 경쟁 나선 자영업자들 [이슈크래커]
  • 트럼프 '관세 유예'에 美 증시 폭등했지만…씁쓸한 '뒷맛'? [이슈크래커]
  • 이낙연 등판 임박?…출마 시점은 [종합]
  • “야구 유니폼 못 구했다면 이곳으로”…외국인도 찾는 KBO스토어 논현점 [가보니]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0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9,127,000
    • +2.75%
    • 이더리움
    • 2,276,000
    • +2.02%
    • 비트코인 캐시
    • 428,700
    • +4.15%
    • 리플
    • 2,915
    • +6%
    • 솔라나
    • 165,000
    • +3.19%
    • 에이다
    • 890
    • +3.85%
    • 이오스
    • 926
    • -6.84%
    • 트론
    • 352
    • +2.03%
    • 스텔라루멘
    • 342
    • +3.01%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400
    • +1.28%
    • 체인링크
    • 17,900
    • +4.74%
    • 샌드박스
    • 373
    • +3.0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