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오쇼핑의 '오덴세', 세계 시장 진출 신호탄

입력 2019-01-08 09:0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제공=CJ오쇼핑)
(사진제공=CJ오쇼핑)

CJ오쇼핑의 테이블웨어 브랜드 ‘오덴세(odense)’가 아시아 시장에 본격 진출한다.

오덴세는 올해 매출 목표를 200억 원으로 잡고 중국, 대만 등 아시아 시장에 진출한다고 8일 밝혔다.

오덴세의 세계 시장 진출 신호탄은 25일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리는 세계 3대 소비재 박람회 ‘HOMI’다. 오덴세는 약 20평 규모의 단독 전시 부스를 마련해 참여할 예정이며 이 박람회에 단독 전시관을 운영하는 것은 한국 브랜드 중 오덴세가 최초다.

독일 암비엔떼((L’Ambiente), 프랑스 메종 오브제(Maison & Objet)와 함께 세계 3대 종합 소비재 박람회로 꼽히는 HOMI는 주방용품, 가구, 조명, 인테리어 등 전세계 소비재 분야의 트렌드를 리드하는 기업의 제품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세계적인 규모의 행사다.

오덴세 측은 이번 단독 전시 부스를 운영을 통해 글로벌 브랜드로서의 위상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오덴세는 이번 박람회에서 아틀리에, 얀테, 레고트 등 국내에서 판매 중인 7종 라인업 전체를 선보일 예정이다.

오덴세는 이번 박람회 참가로 유럽시장은 물론, 테이블웨어 시장이 발달한 싱가포르, 대만 등 아시아 국가에 대한 진출도 본격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그 동안 해외 사업을 통해 구축된 중국 등 아시아 네트워크를 활용해 올해 안에 TV홈쇼핑을 포함한 온ㆍ오프라인 사업자를 통해 오덴세를 해외 시장에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오덴세 관계자는 "유럽과 중화권을 중심으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만큼, 각종 드라마와 예능 등 미디어커머스를 적극적으로 진행한 오덴세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한국의 라이프스타일 감성을 표현한 오덴세만의 특별한 제품으로 글로벌 시장에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오덴세는 2013년 TV홈쇼핑 PB로 첫선을 보인 후 2017년 브랜드를 새롭게 단장했다. 현재 롯데, 신세계 등 전국 20여 개의 백화점을 포함해 총 36곳의 매장을 운영 중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미국발 상호관세 충격에 코스피·코스닥 5%대 폭락
  • "테슬라는 어떡하라고?"…머스크, 트럼프에 반기 든 이유는 [이슈크래커]
  • 산불 재난 인니 영웅…은혜는 꼭 갚는 한국인 [해시태그]
  • 단독 대상웰라이프, 홈플러스 기업회생 한 달 만에 철수...건기식 매대도 빨간불
  • '고정이하자산' 5조 육박…4곳은 'NPL비율' 70% 넘었다[선 넘은 '신탁사 부실'上]①
  • ‘피의자 윤석열’ 동시다발 수사 밀려온다…재구속 가능성은
  • 국내 or 해외?…5월 연휴 가족여행, 어디로 떠날까 [데이터클립]
  • “탄핵 이슈 소멸, 오로지 美 영향” 환율, 33.7원 급등…“1500원 가능성은 열어야”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6,796,000
    • -1.37%
    • 이더리움
    • 2,303,000
    • -4.99%
    • 비트코인 캐시
    • 411,300
    • -0.27%
    • 리플
    • 2,810
    • -5.64%
    • 솔라나
    • 157,200
    • -2.06%
    • 에이다
    • 857
    • -2.39%
    • 이오스
    • 1,126
    • -0.35%
    • 트론
    • 340
    • -2.86%
    • 스텔라루멘
    • 342
    • -4.47%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560
    • -0.49%
    • 체인링크
    • 16,820
    • -2.77%
    • 샌드박스
    • 357
    • +1.1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