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행, 기준금리 동결...경기 판단은 하향

입력 2019-03-15 15:5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수출과 생산 면에 해외 경제 둔화 영향이 보인다”는 표현 추가

일본은행(BOJ)이 15일(현지시간) 열린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현행 금융정책을 유지하기로 결정했다. 다만 경기 판단은 기존의 “완만하게 확대되고 있다”는 문구에 “수출·생산 면에 해외 경제 둔화의 영향이 보인다”는 표현을 추가, 사실상 종합적인 판단을 하향 수정했다.

이날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일본은행은 이날 열린 금융정책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인 단기 금리를 마이너스(-)0.1%, 장기 금리를 제로(0)%로 유도하는 금융완화정책(장단기 금리조작)을 계속 유지하기로 7대 2의 찬성 다수로 결정했다.

경기에 대해서는 “완만하게 확대되고 있다”는 견해를 유지했지만, “수출·생산 면에 해외 경제 둔화의 영향이 보인다 ”는 문구를 더해 종합적인 판단을 하향 조정했다.

구체적으로 보면, 해외 경제에 대해선 “전체적으로는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에서 “둔화 움직임이 보이지만 대체로 보면 완만하게 성장하고 있다”로, 수출에 대해선 “증가 기조”에서 “약한 움직임”으로, 산업생산은 “증가 기조”에서 “약한 움직임이 되고 있지만 완만한 증가 기조”로 각각 하향 조정했다. 일본은행이 수출에 대해 하향 조정한 건 2016년 3월 이후, 생산은 2015년 9월 이후 처음이다.

향후 경기에 대해서는 “완만한 확대를 계속할 것”이라는 견해를 유지했지만 “당분간 해외 경제의 둔화 영향을 받을 것”, 수출은 “당분간 약한 움직임이 될 것”이라는 표현을 더해, 사실상 하향 수정했다.

금융정책 운영에 관해서는 장기 금리가 0% 수준이 유지되도록 국채를 매입하고, 어느 정도의 금리 변동을 허용하겠다는 방침과 함께 -0.1%의 단기 금리를 유지하겠다는 뜻을 나타냈다. 지수연동형 상장지수펀드(ETF)와 부동산투자신탁(J-REIT) 매입 방침도 기존대로 유지하기로 했다.

일본은행의 이번 금융정책 동결에 반대표를 던진 가타오카 고지 위원은 반대 이유에 대해 “향후 경제와 물가 정세에 대한 불확실성이 더욱 고조되는 가운데 금융 완화를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안덕근 "한미 '7월 패키지' 마련 위해 다음 주 중 양국 간 실무 협의"
  • 비트코인, 미 증시 상승에도 횡보…관세 전쟁 주시하며 숨 고르기 [Bit코인]
  • 너도나도 간병비 보장 축소…"절판마케팅 주의해야"
  • “3년보다 6개월 예금 이자 더 준다”...은행 단기 수신 쏠림 심화
  • 공급망 다변화 열쇠 ‘글로벌 사우스’에 주목 [2025 ‘코피티션’ 下]
  • 푸바오 근황…다 큰 푸바오 '가임신 증상' 보였다
  • 한동훈 '재해석'ㆍ홍준표 '역공'…국힘 4인방의 '금강불괴' [왕이 될 상인가]
  • '나솔사계' 10기 영식, 딸과 전화 통화 후 눈물…"인기도 없고 욕도 먹을 것, 참 어려워"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12:03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050,000
    • +0.28%
    • 이더리움
    • 2,516,000
    • -1.45%
    • 비트코인 캐시
    • 504,000
    • -2.42%
    • 리플
    • 3,129
    • -0.73%
    • 솔라나
    • 217,700
    • +1.87%
    • 에이다
    • 1,015
    • +3.15%
    • 이오스
    • 958
    • +1.91%
    • 트론
    • 351
    • +0%
    • 스텔라루멘
    • 396
    • +5.0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310
    • +1.26%
    • 체인링크
    • 21,250
    • +0.47%
    • 샌드박스
    • 428
    • +1.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