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이은 악재로 침체한 바이오업계에서 기업공개(IPO) 시도는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유망한 바이오기업들이 조심스럽게 증시의 문을 두드리면서 업계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10개 안팎의 바이오기업이 연내 상장에 도전한다.
가장 먼저 코스닥에 이름을 올릴 기업은 GC녹십자웰빙이다. GC녹십자웰빙은 다음 달 초 청약을 거쳐 14일 상장을 앞두고 있다. 400억~500억 원을 조달해 생산시설 확보에 투자할 방침이다.
GC녹십자웰빙은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시스템 ‘PNT(Personalized Nutrition Therapy) 솔루션’을 개발한 헬스케어 전문 기업이다. 태반주사제 분야 시장 점유율 1위 제품 ‘라이넥’을 비롯해 다양한 주사제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암 환자들에게 근손실과 체중감소를 일으키는 암악액질 치료제 ‘GCWB204’를 개발 중이다. GCWB204는 내년까지 임상 2상을 완료 후 기술수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GC녹십자웰빙의 뒤를 이을 것으로 보이는 회사는 비임상시험수탁기관(CRO) 전문기업인 노터스다. 노터스는 10월 중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기업공개(IPO)에 속도를 낼 것으로 알려졌다. 11월 코스닥 입성이 기대된다.
노터스는 국내 제약사와 바이오업체를 대상으로 동물 임상의학 연구, 수의학 임상 교육, 실험동물 연구대행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회사다. 국내에서 신약 개발이 늘면서 수요가 꾸준히 증가, 설립 이래 연평균 60%의 매출 성장률을 달성하고 있다.
SK케미칼 혁신신약연구개발센터장을 지낸 김태훈 대표가 2016년 설립한 티움바이오는 빠르면 연내 상장 절차를 마무리할 전망이다. 설립 2년 만에 3000억 원 이상의 기업가치를 평가받는 등 업계의 주목을 끌고 있다.
티움바이오는 자궁내막증 치료제와 혈우병 치료제, 폐섬유증 치료제 신약 후보물질을 연구 중이다. 이 가운데 폐섬유증 치료제는 이탈리아 제약사 키에지에 830억 원 규모의 기술수출에 성공했다.
필러 ‘에피테크’를 주력 제품으로 내세운 제테마는 테슬라 상장에 도전한다. 필러와 보툴리눔 톡신으로 잘 알려진 휴메딕스 창업 구성원들이 2009년 설립한 회사로, 2014년 의료기기 시장에도 진출했다. 제테마가 상장에 성공하면 바이오업계 첫 번째 테슬라 상장사로 기록된다.
브릿지바이오는 성장성 특례제도로 상장 ‘삼수’를 시도한다. 성장성 특례제도는 자기자본 10억 원 이상, 기준 시가총액 90억 원 이상 등의 조건을 충족하면 주관사나 투자은행을 받아 증시에 입성하는 제도다.
회사는 지난 7월 다국적제약사 베링거인겔하임과 11억 유로(1조 4600억 원) 규모의 기술수출을 성사시키며 국내 바이오기업 사상 최대 규모의 성과를 냈다. 그간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추진했으나 5월 기술성 평가에서 두 번째 고배를 마시면서 방향을 틀었다.
유전체 빅데이터 기반 인공지능(AI) 신약 개발 기업 신테카바이오와 마이크로니들 패치 제조기업 라파스도 성장성 특례제도로 코스닥 시장을 노크한다.
신테카바이오는 AI 분석을 통해 우수한 신약후보물질을 예측하고 약물의 치료 효과를 예측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JW중외제약, CJ헬스케어 등과도 협업 중이며, 앞으로 글로벌 제약사와 공동 파이프라인 개발로 확장할 계획이다. 상장에 성공하면 6월 정부가 발표한 ‘4차산업 관련 혁신기업 상장’ 첫 사례가 될 전망이다.
테라젠이텍스의 관계사 메드팩토도 이르면 연내 코스닥 입성이 예상된다. 2013년 설립된 항암신약 개발 기업으로 대표 신약 ‘백토서팁’의 병용 투여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 백토서팁은 면역항암제의 치료 효과를 저해하는 주요 기전인 형질전환증식인자 TGF-β를 억제하는 약물이다.
그러나 연내 상장이 예상됐던 일부 기업은 이를 철회하면서 위축된 모습을 보였다. 코넥스에서 코스닥 이전상장을 추진하던 젠큐릭스는 상장예비심사를 냈으나 5월 자진 철회했다. 한때 1조 원대 기업가치를 인정받던 젠바디는 주요 매출처인 브라질과의 거래가 중단되면서 상장 일정이 연기됐다. 특히 헬릭스미스마저 임상 3상 실패 소식을 전하면서 시가총액 상위 바이오기업들의 신약 개발이 줄줄이 무너진 사실은 IPO 예정 기업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오랜 기간 상장을 준비한 기업들이 보다 신중해지기는 할지언정 IPO 계획 자체를 포기하지는 않을 것이란 시각`이 우세하다. 정부가 정책적으로 바이오기업 상장을 활성화하려는 점도 힘을 실어주는 대목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헬릭스미스의 임상 3상의 경과가 알려지면서 올해 바이오업계의 마지막 불확실성이 해소됐다”며 “본격적인 옥석가리기 속에서 위기를 기회로 삼으려는 기업들의 도전이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