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 항만 미세먼지 감축 관리 나선다

입력 2019-12-10 11:5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평택지방해양수산청과 육상전원공급시스템(AMP) 구축 업무협약

▲(왼쪽부터) 강기완 대주중공업 전무, 김태석 평택지방해양수산청 청장, 박종성 현대제철 당진제철소장 , 최성훈 현대글로비스 상무가 육상전원공급설비(AMP) 구축 시범사업 업무협약식에서 기념촬영을 갖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제철)
▲(왼쪽부터) 강기완 대주중공업 전무, 김태석 평택지방해양수산청 청장, 박종성 현대제철 당진제철소장 , 최성훈 현대글로비스 상무가 육상전원공급설비(AMP) 구축 시범사업 업무협약식에서 기념촬영을 갖고 있다. (사진제공=현대제철)

현대제철이 당진제철소 부두에 정박한 선박의 미세먼지까지 감축하고 나섰다.

현대제철과 평택지방해양수산청은 정박 중인 선박에 필요한 전력을 육상에서 공급하는 설비(AMP)를 설치키로 하고 9일 협약식을 했다.

선박은 항만에 정박 중일 때도 장비 운용 등에 필요한 최소 전력공급을 위해 엔진을 가동한다.

이때 발생하는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물질은 항만 지역 환경문제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돼 왔다.

그러나 AMP를 갖춘 선박은 정박 중에 엔진을 끄고 필요한 전력을 육상으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대기오염물질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날 협약식에는 김태석 평택지방해양수산청 청장과 박종성 현대제철 당진제철소장 부사장을 비롯해 선사 및 AMP 설치업체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협약식을 통해 평택지방해양수산청은 AMP 설치를, 부두 운영사인 현대제철은 부지제공과 시설물 운영을 맡기로 했다.

또한, 현대글로비스와 대주중공업은 선박 내 수전시설을 설치하고 AMP 이용기준 등을 검토하게 된다.

현대제철은 2020년 1개 선석을 시작으로, 2022년까지 총 3개 선석에 대해 AMP를 설치하고 운영할 예정이다.

한편 현대제철은 최근 제철소 내 운송장비에 무시동 냉난방기를 도입해 작업 대기시간 중 운송장비의 공회전을 최소화하는 등 다양한 방안을 통해 대기오염물질 저감에 효과를 거뒀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딸기 가고, '말차' 왔다!…초록빛에 진심인 요즘 감성 [솔드아웃]
  • 증권업 재진출 이어 보험사까지…임종룡 '뚝심' 통했다
  • SKT 유심 대란이 드러낸 ‘통신비’의 실체…‘다크패턴’ 확인해보세요 [해시태그]
  • 배터리 한 모금으로 세계를 설득한 왕촨푸…왕 회장과 BYD의 진정한 꿈은 [셀럽의카]
  • 비트코인, 美 증시와 동반 상승…한때 9만7000달러 터치 [Bit코인]
  • 헌정 초유 ‘대대대행’ 체제, 이주호 “막중한 책임감”…33일간 국정 맡는다
  • SKT, 해킹 여파에 시총 1조 증발…KT·LGU+, 주가 고공행진 ‘반사이익’
  • “하늘이 노했다?” 서울 하늘 덮은 특이 구름, 5월 연휴 날씨 전망은…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2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8,694,000
    • -0.25%
    • 이더리움
    • 2,639,000
    • -0.49%
    • 비트코인 캐시
    • 541,500
    • +3.44%
    • 리플
    • 3,163
    • -0.85%
    • 솔라나
    • 212,100
    • -1.9%
    • 에이다
    • 995
    • -2.07%
    • 이오스
    • 1,026
    • +3.12%
    • 트론
    • 354
    • +0%
    • 스텔라루멘
    • 391
    • -1.5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500
    • +3.16%
    • 체인링크
    • 21,130
    • -1.54%
    • 샌드박스
    • 429
    • -1.6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