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준코스메틱, ‘아시아 최고 브랜드상’ 수상…러시아 ‘왓슨스 어워드’ 선정

입력 2019-12-12 09:2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제이준코스메틱이 러시아 뷰티 어워드에서 아시아 브랜드 중 유일하게 수상해 브랜드 가치를 인정 받았다고 12일 밝혔다.

제이준코스메틱은 러시아 ‘2019 왓슨스 H&B 어워드(2019 Watsons Health Beauty Awards)’에서 ‘아시아 최고 브랜드 상(The best Asia Brand)’을 수상했다. 올해 총 39개의 카테고리를 대상으로 진행된 어워드에서 제이준코스메틱 브랜드는 한국은 물론 아시아 브랜드 중 유일하게 H&B 어워드 위너로 선정됐다.

글로벌 헬스&뷰티 유통 체인인 왓슨스는 매년 소비자에게 가장 많이 사랑받은 브랜드 및 제품을 엄선해 시상하고 있다. 제이준코스메틱은 ‘K-뷰티의 새로운 수출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는 러시아에서 현지 맞춤형 제품 라인업 등 차별화된 현지화 전략으로 브랜드 인지도를 강화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제이준코스메틱은 지난해 4월 처음 러시아 화장품 시장에 진출했다. 올해 초 러시아 3대 총판 중 하나와 독점 총판 계약을 맺고 현지화된 전략으로 온∙오프라인 유통망 확대를 본격화 하고 있다는 것이 회사 측의 설명이다.

러시아 3대 뷰티숍인 `리브 고쉬(Rive Gauche)`의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등 주요도시 약 240여곳 매장에 제이준 마스크팩과 기초케어 등 19종 제품을 입점해 판매하고 있다. 또 러시아 H&B매장 `골드 애플`과 하이퍼마켓인 `오케이`, `렌타` 등 유통 채널을 확대해 러시아 뷰티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지난 3월에는 벨라루스의 뷰티 리테일 체인 `크라브트` 7개점에 입점을 완료하는 등 러시아 주변국으로도 영역을 확장해나가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아시아는 물론 국내 브랜드 중 유일하게 최고 브랜드상을 받아 제이준 브랜드의 위상을 높일 수 있었다”며 “러시아에서 K-뷰티의 관심과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러시아 여성 및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제품 위주로 지속 라인업 해나갈 것이며 현지 특성에 맞는 제품들로 러시아와 주변 국가들까지 제품과 브랜드 경쟁력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미국발 상호관세 충격에 코스피·코스닥 5%대 폭락
  • "테슬라는 어떡하라고?"…머스크, 트럼프에 반기 든 이유는 [이슈크래커]
  • 산불 재난 인니 영웅…은혜는 꼭 갚는 한국인 [해시태그]
  • 단독 대상웰라이프, 홈플러스 기업회생 한 달 만에 철수...건기식 매대도 빨간불
  • '고정이하자산' 5조 육박…4곳은 'NPL비율' 70% 넘었다[선 넘은 '신탁사 부실'上]①
  • ‘피의자 윤석열’ 동시다발 수사 밀려온다…재구속 가능성은
  • 국내 or 해외?…5월 연휴 가족여행, 어디로 떠날까 [데이터클립]
  • “탄핵 이슈 소멸, 오로지 美 영향” 환율, 33.7원 급등…“1500원 가능성은 열어야”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7,401,000
    • -3.92%
    • 이더리움
    • 2,346,000
    • -9.94%
    • 비트코인 캐시
    • 407,900
    • -5.53%
    • 리플
    • 2,832
    • -7.57%
    • 솔라나
    • 159,600
    • -6.17%
    • 에이다
    • 861
    • -7.02%
    • 이오스
    • 1,126
    • +0.9%
    • 트론
    • 339
    • -4.24%
    • 스텔라루멘
    • 348
    • -5.43%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570
    • -5.52%
    • 체인링크
    • 16,970
    • -6.09%
    • 샌드박스
    • 361
    • -2.17%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