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C녹십자, 지난해 매출 전년비 2.6%↑ㆍ영업익은 19.7%↓

입력 2020-02-12 13:4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자료제공=GC녹십자)
(자료제공=GC녹십자)

GC녹십자가 지난해 외형 성장에 성공했으나 수익성 측면에서 아쉬움을 남겼다.

GC녹십자는 연결재무제표 기준 2019년 매출 1조3697억 원으로 전년보다 2.6%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2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403억 원으로 전년 대비 19.7% 줄었고, 당기순이익은 적자 전환했다.

주력인 혈액제제와 백신, 소비자헬스케어 사업 부문 등 내수에서 고른 매출 성장세가 이어졌다. GC녹십자의 국내 매출은 전년 대비 3% 증가했다. 부문별로는 혈액제제 사업의 매출 규모가 2.2% 증가했고, 백신과 소비자헬스케어 사업 부문은 각각 15%, 23% 성장하며 전체 외형 성장을 이끌었다.

특히, 독감백신은 내수와 수출 모두 견조한 실적을 내며 33.5%의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다만, 수두백신 수출 이연과 외부 도입 상품의 유통 중단으로 인해 수출과 전문의약품 부문은 매출 공백이 발생했다.

수익성 하락의 원인은 연구개발비 등 판매관리비가 전년 대비 12.3% 증가했고, 영업 외 항목에서 금융 자산 평가손실 등 일회성 비용이 발생하며 연간 순이익에 영향을 미쳤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연결 대상 계열사도 외형 성장을 이어갔다. GC녹십자엠에스는 주력 사업의 견실한 성장으로 수익성 개선을 이뤄냈다. 현장진단(POCT), 혈액투석액 사업분야가 성장을 지속하며 지난해 매출이 전년에 비해 9% 오른 941억 원을 기록했다.

GC녹십자웰빙의 지난해 매출은 주사제와 건강기능식품 사업 성장을 통해 전년 대비 24.2% 상승한 669억 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연구개발비용은 24% 늘려 투자를 이어갔다.

GC녹십자랩셀은 지난해 매출이 전년에 비해 14.4% 늘어난 579억 원을 기록하며 견조한 성장세가 이어졌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이 다소 줄었지만 연구개발비를 전년대비 58.1% 늘리며 미래 투자 확대 기조를 이어갔다.

GC녹십자 관계자는 “사업 성장을 위한 연구개발 투자 확대 기조를 이어가고 원가 절감 등 경영 효율화를 통해 수익성을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금상추에 배추·무까지…식품업계, 널뛰는 가격에 불확실성 고조 [식탁 지배하는 이상기후]
  • 단독 한달 된 '실손24' 60만 명 가입…앱 청구 고작 0.3% 불과
  • 도쿄돔 대참사…대만, 일본 꺾고 '프리미어12' 우승
  • "결혼 두고 이견" 정우성ㆍ문가비 보도, 묘한 입장차
  • ‘특허증서’ 빼곡한 글로벌 1위 BYD 본사…자사 배터리로 ‘가격 경쟁력’ 확보
  • [식물 방통위] 정쟁 속 수년째 멈춤…여야 합의제 부처의 한계
  • 이재명 오늘 '위증교사' 선고...'고의성' 여부 따라 사법리스크 최고조
  • 성장률 적신호 속 '추경 해프닝'…건전재정 기조 흔들?
  • 오늘의 상승종목

  • 11.25 09:57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5,430,000
    • -0.89%
    • 이더리움
    • 4,640,000
    • -2.83%
    • 비트코인 캐시
    • 706,500
    • -2.55%
    • 리플
    • 1,946
    • -5.81%
    • 솔라나
    • 347,900
    • -3.31%
    • 에이다
    • 1,390
    • -7.58%
    • 이오스
    • 1,141
    • +4.49%
    • 트론
    • 289
    • -3.67%
    • 스텔라루멘
    • 734
    • +2.95%
    • 비트코인에스브이
    • 95,350
    • -3.78%
    • 체인링크
    • 24,770
    • -3.01%
    • 샌드박스
    • 1,047
    • +64.11%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