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모의평가 채점결과…평가원 "재학생 불리하지 않았다"

입력 2020-07-08 14:1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코로나19 여파에도 재학생·졸업생 성적 차이 예년 수준

(연합뉴스)
(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고3이 재수생보다 불리할 것이란 예상과 달리 우려할만한 차이는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수능 출제 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평가원)은 이같은 내용의 6월 모의평가(모평) 채점 결과를 8일 발표했다.

지난달 18일 치러진 6월 모평은 고3과 재수생 등 졸업생이 함께 본 전국 단위 시험으로 '모의 수능'이라 불린다. 특히 이번 모평은 코로나19로 고교 등교가 늦어지면서 고3 학력 저하 우려가 큰 상태에서 치러졌다.

그러나 주요 영역·과목의 난이도는 수학 가형만 지난해 수능보다 어려웠고 나머지 국어·수학 나형·영어는 쉽게 출제된 것으로 파악됐다.

평가원 측은 "졸업생 비율과 등급별 비율, 표준점수를 비교하면 예년과 큰 차이가 없어 우려할 만한 결과는 없다"고 설명했다.

이번 6월 모의평가에 응시한 수험생은 총 39만5486명으로 재학생은 33만9658명(85.9%), 졸업생은 5만5828명(14.1%)이었다.

재수생 비율은 지난해 6월 모의평가(14.8%)보다 0.7%포인트(p) 줄었다. 다만 올해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9월 모의평가와 12월 수능에서는 졸업생 비율이 더 늘어날 수 있다.

1등급 하한 표준점수(등급컷)를 살펴보면 국어 132점으로 4.41%만 1등급을 받았다. 2등급(126점)은 6.89%, 3등급은 117점(12.76%)이다.

수학 영역의 1등급 하한선은 가형 132점, 나형 135점으로 나타났다. 가형은 1등급이 5%, 2등급(125점) 7.59%, 3등급(118점) 10.86%다. 나형의 경우 1등급이 4.54%, 2등급(129점) 7.3%, 3등급(119점) 11.33%다. 절대평가인 영어는 1등급(90점) 이상이 8.73%, 2등급(80점) 12.12%) 3등급(70점) 16.65%로 나타났다.

평가원은 고3과 재수생 간의 성적 격차의 경우 수능 출제 기초자료 활용을 위해 비공개 했다.

한편 두 번째 모평은 9월 16일, 수능은 12월 3일로 예정돼 있다. 9월 모평에서도 코로나19 확진자나 의심자는 온라인으로 시험을 치르게 된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관세전쟁에 내수부진 장기화까지...韓경제 짓누른 'R의 공포'
  • 대법, ‘이재명 사건’ 직접 결론낼까…최근 파기자판율 0% 가까워
  • 금요일 조기 퇴근, 진짜 가능할까? [이슈크래커]
  • 미국 경영진 체감경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악…줄줄이 전망 하향 조정
  • "마라톤 뛰러 미국 간다"…러너들이 가장 가고 싶어하는 해외 마라톤 대회는 [데이터클립]
  • “군 간부입니다” 믿었다가…진화된 ‘조직적 노쇼’에 당했다 [해시태그]
  • 국민의힘 4강 ‘토론 대진표' 확정...한동훈-홍준표 3시간 끝장 토론
  • ‘입시비리’ 조민, 2심도 벌금 1000만 원...법원 “원심판단 정당”

댓글

0 / 300
  • mac****
    필자는 대학.교육.종교관련 관심이 지대한 성균관대 출신 문필가.사상가 윤진한(宮 儒)입니다. 1962년생으로 성균관대 1983학번으로 퇴계장학생이 되어 성균관대 경상대학 무역학과(주간)를 입학하고, 1988년에 졸업하였으며 대기업과 외국계 보험회사를 다니고, 세일즈맨으로 살면서, 틈틈이 시간을 내어 블로그에 20년 넘게 글을 써오고 있습니다.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양반가문이신데, 필자는 파평윤씨 양반가문에서 태어났습니다. 대일선전포고한 한국의 주권을 위함.헌법전문에도 임시정부 정통성 보장되어서 더욱 그러함.국사 성균관의
    2020-07-09 00:15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3,340,000
    • +2.7%
    • 이더리움
    • 2,563,000
    • +8.28%
    • 비트코인 캐시
    • 509,500
    • +0.99%
    • 리플
    • 3,206
    • +4.94%
    • 솔라나
    • 214,700
    • +3.72%
    • 에이다
    • 999
    • +6.28%
    • 이오스
    • 954
    • +3.81%
    • 트론
    • 352
    • +0%
    • 스텔라루멘
    • 383
    • +4.64%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790
    • +2.65%
    • 체인링크
    • 21,300
    • +8.78%
    • 샌드박스
    • 426
    • +5.1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