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부가 전국의 모든 학교를 현대화한다. 이 사업의 이름은 '그린 스마트 미래학교'다. 이 계획은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위기 극복 전략의 하나로 발표한 '한국판 뉴딜'의 세부 과제 일환이다.
그린 스마트 미래학교 사업은 지은 지 40년이 넘은 학교 노후건물 2835동을 내년부터 5년간 개조하고 전국 모든 초·중·고등학교의 22만 개 교실에 와이파이를 설치하는 것이 핵심이다.
여기에는 총 18조5000억 원 사업비가 소요된다.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는 사업인 만큼 사업 초기의 관심을 이후까지 이어가는 것이 숙제다. 이번 정책에 대해 교육계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계속해서 나오는 이유다.
이 같은 '거대한 숙제'를 해내려면 교사들의 도움이 절대 적으로 필요하다.
관련 뉴스
노후시설 개선 자체도 의미 있지만 교육 환경을 어떻게 바꿀 것인지에도 주안점을 둬야 한다는 얘기다. 예컨대 하드웨어 공사와 더불어 과밀학급의 원인인 '학급당 학생 수 감축', '정규직 교사 확보' 등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대책을 병행하며 건물보다 학생과 교사에 집중해야 한다.
일선 교육청들도 우려를 표한다. 해당 사업에는 민간 자본을 당겨 쓰는 임대형 민간투자사업(BTL) 방식이 도입되는데 이 중 30%인 5조5000억 원이 국비로 지원되고 나머지는 지방 재정을 투입한다. 이 가운데 709동인 25%는 민간투자(BTL) 방식으로 충당한다. 교육계는 BTL 방식은 결국 부채로 돌아와 교육 재정에 부담을 줄 것으로 본다.
그린 스마트 미래학교 사업은 2009년부터 5년간 진행된 그린스쿨 사업과 다를 게 없다. 교육계 한 관계자는 "공간혁신은 이미 교육부가 추진 중이고, 제로에너지 그린 학교는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및 관련 지침에 따라 해야 하는 일"이라면서 "스마트 교실은 기존 특교와 지난 3차 추경의 와이파이 깔아주기, 노후 PC 바꾸기, 스마트기기 넣기, 온라인 콘텐츠 활용하기 등과 대동소이하다"고 지적했다.
공기청정기를 각 교실에 공급하자던, 내진 보강하자던, 석면제거를 하자던, 지금 그 교실 상태는 어떤가. 최근엔 스마트 패드를 교사들에게 다 준다고 한다. 교사들이 요구하지 않아도 준다고 한다.
이런 것들은 무의미하다. 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교육 환경 개선에 방점을 찍어 교사들의 마음을 얻지 않는다면 학교를 싹 다 갈아엎어도 아무것도 바뀌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