옆 볼 필러, 얼굴 윤곽 개선 가능해

입력 2020-08-04 13:5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얼굴의 볼륨을 채워주는 필러는 시술시간이 짧고 바로 일상생활이 가능하다는 장점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선택하고 있다. 필러는 보통 볼륨이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얼굴의 중앙부분인 이마, 코, 턱 끝, 앞광대에 가장 많이 시술되지만 광대 밑 꺼진 볼 부위, 즉 옆 볼 부위에 시술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뼈를 깎지 않아도 윤곽이 부드러워지는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

옆볼필러는 주사 마취 후 시술이 진행되며, 시술 시간은 약 10분 정도이다. 볼이 함몰된 정도에 따라 한쪽당 1~2cc 정도를 시술하게 된다. 필러의 종류에 따라 유지기간이 달라지는데, 보통 히알루론산 필러는 1년 엘란세 필러는 2~3년 정도 유지된다.

옆 광대가 도드라져 돌출되어 보이거나, 얼굴에 살이 없어 옆볼이 패인 경우, 보톡스나 윤곽수술 후 볼 꺼짐이 나타난 경우에 옆 볼 필러 시술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옆 볼 필러 시술을 받게 되면 얼굴라인이 부드러워지는 것은 물론, 패였던 부분에 볼륨이 생기면서 어려 보이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옆 볼이 꺼져있어 하안면부의 피부가 처져 보일 수 있는데, 옆 볼에 볼륨을 살려주면 처진 부위가 리프팅되어 보이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조종제 와우성형외과 원장은 “함몰된 옆볼 때문에 고민하지만, 옆 볼에 필러를 맞으면 얼굴이 더 커지지는 않을까 걱정하는 경우가 있다. 필러를 채울 때 옆 광대를 기준으로 자연스럽게 채워, 옆 광대보다 더 돌출되지 않게 시술하면 얼굴이 커져보이지는 않으면서, 윤곽을 매끈하게 변화시키는 효과를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덧붙여 “어느 부위를 시술 받든 중력에 의해 필러가 밑으로 이동하는 경우는 제한적이다”라며, “필러 주입 시 한곳에 집중해서 넣는 것이 아니라 여러 층에 소량씩 나눠 채운다면 필러가 이동할 일은 없으므로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옆볼 필러를 시술할 때는 여러 번 나누어서 부족한 부분을 채워야만 옆 광대 및 앞 광대와 자연스럽게 어우러져 매끈한 윤곽을 만들 수 있다”라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관세정책 혼선 지적에 “면제 아냐...품목 관세”
  • 의료법에 막힌 비대면진료 ‘제도화’ 해법은? [갈림길에 선 비대면진료③]
  • 尹 '내란혐의' 정식재판 본격 개시...'공천개입 의혹' 수사도 급물살
  • 인구 폭발은 기회…경제 혁신 물결 이는 검은 대륙 [아프리카 자본주의 혁명]
  • 벚꽃만개 4월에 내리는 눈…대설주의보 안내문자까지 발송
  • 서울 유명 빵집서 진열된 빵에 혀 대는 아이…외국인이 포착?
  • 완성차 업계, 올해 임단협 쟁점 산적…시작도 전에 진통 예고
  • 포스코, 美 25% 철강 관세 대응 위해 현대제철과 손잡나…"검토 중"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4 09:04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752,000
    • -1.53%
    • 이더리움
    • 2,326,000
    • -2.23%
    • 비트코인 캐시
    • 499,300
    • +0.36%
    • 리플
    • 3,080
    • -1.22%
    • 솔라나
    • 186,700
    • -2.56%
    • 에이다
    • 926
    • -2.94%
    • 이오스
    • 882
    • -12.15%
    • 트론
    • 370
    • +3.64%
    • 스텔라루멘
    • 346
    • -3.0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900
    • -5.43%
    • 체인링크
    • 18,360
    • -3.47%
    • 샌드박스
    • 374
    • -5.3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