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해상 내비게이션 세계 첫 서비스…30조 규모 세계 시장 선점 나서

입력 2020-08-06 11:3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해수부, '스마트 해양교통정책 추진전략' 발표

▲e-Navigation 개념도. (출처=해양수산부)
▲e-Navigation 개념도. (출처=해양수산부)
내년부터 세계 최초로 국내 연안을 다니는 선박에서 자동차 내비게이션처럼 해상 내비게이션(e-Navigation) 서비스가 시작된다. 실시간으로 운항정보를 제공해 충돌과 좌초위험을 예측하고 경보를 울려줘 해양사고가 30% 감소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세계 최초로 e-Navigation 서비스를 시작해 30조 원 규모로 형성될 세계 e-Navigation 시장을 선도한다는 계획이다.

해양수산부는 6일 제12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스마트 해양교통정책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점차 첨단화되고 있는 자동차와 달리 선박은 여전히 아날로그 기술(레이더, 종이해도, 극초단파 음성통신 등) 기반으로 운항해 항해 중 운항자의 업무부담 증가로 인한 인적과실 예방에 한계가 있었다. 실제로 인적과실이 전체 해양사고의 84%를 차지한다.

이에 해수부는 2016년부터 ‘한국형 이내비게이션 구축사업’을 통해 e-Navigation을 개발하고 전국 연안에 620여 개의 초고속 해상무선통신망(LTE-M) 기지국과 망 운영센터 등 기반시설을 구축해 올해부터 시범 운영함으로써 서비스 품질을 최적화하고 있다.

올해 시범운영을 마치면 내년부터는 아날로그 기반의 선박 운항기술에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육상-선박 간 해양안전 정보가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e-Navigation을 비롯한 스마트 해양교통체계가 세계 최초로 도입된다.

▲연안에서 100km 해상까지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초고속 해상무선통신망(LTE-Maritime)이 내년부터 서비스된다. (출처=해양수산부)
▲연안에서 100km 해상까지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초고속 해상무선통신망(LTE-Maritime)이 내년부터 서비스된다. (출처=해양수산부)
e-Navigation은 △충돌‧좌초 자동예측 경보 △화재‧전복 위험성 원격 모니터링 △최적 항로 안내 △전자해도 제공 △선박 입‧출항 정보 제공 △해양안전‧기상 정보 제공 등을 제공해 운항자가 안전운항에 더욱 집중할 수 있어 해양사고 예방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해수부는 2022년까지 모든 연안 선박 1만5500척에 선박단말기를 보급할 계획이다.

또 해수부는 K-방역처럼 스마트 해양교통체계를 ‘K-바다안전(SMART-Nav)’으로 브랜드화한다. 이를 위해 해양디지털 서비스를 전 세계에서 24시간 끊김 없이 제공하는 국제공유플랫폼(MCP)의 국제표준 주도 및 국제적 범용화를 추진한다.

최근 국제해사기구(IMO)의 해양디지털화 정책(e-Nav, 자율운항 선박 등)으로 해운ㆍ조선ㆍ물류 시장이 디지털 체계로 본격 전환 시 연간 30조 원 규모의 신규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해수부는 그간 개발한 기술 등을 바탕으로 해외시장 진입ㆍ선점을 위한 선박 사물통신기술(LTE-M, 5G 기반) 개발, 선박별 통신설비(안테나 크기 등) 다각화, 지능형 서비스 고도화(충돌 위험분석, 추천 항로계산 정밀도 향상) 등 해양디지털 신기술 연구개발을 지원해 해양 분야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마련할 예정이다.

문성혁 해수부 장관은 “해양교통관리체계를 디지털 체계로 전환하는 한편, 4차 산업혁명시대에 전 세계에 우수한 우리 기술을 확산하고 전 세계적인 해양안전 및 디지털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전략 추진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뽀빠이 아저씨’ 이상용, 오늘 별세…향년 81세
  • 김문수 측 “홍준표, 선대위원장 임명” 공지했지만…洪 '거절'[종합]
  • '50주년' 자라, 어떻게 패션의 '속도'를 바꿨나 [솔드아웃]
  • 손흥민·황희찬·김민재…유럽서 빛나는 한국 축구 기둥들의 최애 차량은 [셀럽의카]
  • 떠돌이 NC의 임시 홈구장은 롯데의 세컨하우스?...울산 문수야구장과의 두번째 인연 [해시태그]
  • 단독 검찰 “文, ‘태국 생활 자금지원 계획’ 다혜 씨 부부에 직접 전달”
  • 치매·요양보험 쏟아진다…맞춤형 상품으로 ‘눈길’ [그레이트 시니어下]
  • SKT '위약금 면제' 법률 검토, 6월 말 가능…"조사단 결과 나와야"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9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5,325,000
    • +3.68%
    • 이더리움
    • 3,327,000
    • +22.45%
    • 비트코인 캐시
    • 594,500
    • +0.59%
    • 리플
    • 3,297
    • +6.63%
    • 솔라나
    • 233,400
    • +8.91%
    • 에이다
    • 1,115
    • +11.28%
    • 이오스
    • 1,208
    • +1.77%
    • 트론
    • 362
    • +2.55%
    • 스텔라루멘
    • 419
    • +9.11%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800
    • +4.24%
    • 체인링크
    • 22,710
    • +9.5%
    • 샌드박스
    • 459
    • +12.2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