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시각 바꿨다…취준생 69.2% “돈보단 ‘워라밸’”

입력 2020-08-11 08:5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제공=잡코리아)
(사진제공=잡코리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직장의 기준이 변화하고 있다. 취업준비생(취준생) 10명 중 7명가량이 직장을 고르는 기준으로 ‘워라밸(일과 생활의 균형)’을 선택하면서다.

11일 잡코리아가 알바몬과 신입직 및 경력직 구직자 127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이후의 직장관 변화’를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에 따르면 구직자 5명 중 2명이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직장관에 변화를 겪은 것으로 드러났다.

취준생 39.1%가 ‘코로나19 이후 직장에 대한 기존의 신념, 가치관이 달라졌다’고 답했다. 반면 ‘별 변화나 영향이 없었다’는 응답은 34.8%로 이보다 낮았으며, 26.1%는 ‘기존의 직장관이 더 확고해졌다’고 답하기도 했다.

취준생들의 직장관에 대한 코로나의 영향력은 신입직에서 더 컸다. 경력직의 경우 ‘직장관이 달라졌다(34.9%)’는 응답보다 ‘별 영향이 없었다(42.5%)’는 응답이 더 높게 나타났다. 반면 신입직은 ‘달라졌다(41.6%)’는 응답이 ‘별 영향이 없었다(30.0%)’보다 11%포인트 이상 높게 나타났다.

코로나19 이후 구직자들이 가장 영향을 받은 직장관으론 ‘워라밸의 중요도’가 꼽혔다. 구직자 496명 중 69.2%가 ‘코로나 이후 금전적인 보상보다는 나의 건강, 워라밸이 더 중요하게 여겨진다’고 답했다. 이 같은 응답은 신입직 구직자에게서 73.6%로 경력직 구직자의 60.6%보다 13%포인트나 높았다. 반면 ‘워라밸보다는 금전적인 보상이 더 중요하게 느껴진다’는 응답은 30.8%의 응답을 얻는 데 그쳤다.

직무와 연봉 중 더 우선하는 가치를 두고는 경력직과 신입직 구직자간의 가치관 차이가 두드러졌다. 먼저 경력직 구직자들은 “높은 연봉을 위해서라면 관심ㆍ희망직무도 포기할 수 있다”는 응답이 53.5%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반면 신입직 구직자들은 “나의 관심ㆍ희망 직무를 위해서라면 높은 연봉도 포기할 수 있다”는 응답이 58.6%로 더 높아 ‘하고 싶은 일’에 대한 선호가 더욱 두드러졌다.

또한 코로나19 이후 구직자들이 직장을 선택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로는 ‘워라밸’이 꼽혔다. 잡코리아ㆍ알바몬 설문결과 구직자 26.0%가 직장 선택의 가장 중요한 가치로 ‘워라밸: 저녁이 있는 삶, 일과 삶의 균형이 보장되는가’를 꼽았다.

2위는 ‘경제적 보상(22.2%)’으로 ‘충분한 금전적 보상, 만족할만한 연봉이 주어지는가’가 차지했다. 또 ‘안정성: 꾸준히 오래도록 일할 수 있는 고용안정성이 보장되는가(13.3%)’가 3위를 차지한 데 이어 ‘일의 성취감: 일하는 보람을 느낄 수 있는가(8.9%)’, ‘능력발휘: 내가 가진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며 일할 수 있는가(7.3%)’가 각각 4, 5위를 차지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장원영→제니 다 입었다…코첼라 뒤덮은 '보호 시크', 왜 다시 뜰까? [솔드아웃]
  • 경찰청 ‘리얼한 사건 현장’·농림부 ‘두릅송 챌린지’…MZ 겨냥한 정부부처 [이슈크래커]
  • ‘한 발 후퇴’ 트럼프 “2~3주 안에 대중국 관세율 확정”…車부품 관세 인하 검토
  • ‘대선 출마’ 묻자 “고생 많으셨습니다”...요동치는 ‘한덕수 등판론’
  • SK하이닉스·현대차, ‘어닝 서프라이즈’… 2분기부터는 ‘관세 안갯속’
  • 심 스와핑 해킹 공포…SKT·KT·LGU+ '유심보호서비스' 가입 방법은?
  • 이정후, 12일 만에 3안타 몰아쳐…다저스와 서부지구 2위 두고 치열한 경합
  • 돌아온 '애망빙'…2025 호텔 애플망고 빙수 가격 정리zip [그래픽 스토리]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3,443,000
    • -0.47%
    • 이더리움
    • 2,525,000
    • -2.58%
    • 비트코인 캐시
    • 498,400
    • -3.22%
    • 리플
    • 3,109
    • -4.07%
    • 솔라나
    • 213,500
    • -1.88%
    • 에이다
    • 991
    • -1.69%
    • 이오스
    • 928
    • -3.83%
    • 트론
    • 352
    • -0.28%
    • 스텔라루멘
    • 383
    • -1.79%
    • 비트코인에스브이
    • 43,220
    • -2.42%
    • 체인링크
    • 20,800
    • -3.21%
    • 샌드박스
    • 419
    • -2.5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