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탈지노믹스, 혈액암 치료제 혁신신약 호주 특허 획득

입력 2020-08-21 11:5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크리스탈지노믹스는 혁신신약 FLT3-BTK 다중저해제인 혈액암 신약 후보 ‘CG-806’의 호주 특허를 획득했다고 21일 밝혔다.

​​대부분의 림프암은 B세포 수용체를 조절하는 BTK의 과발현 및 유전자변형에 의해서 발생하는 암이며, FLT3는 약 35%의 백혈병 환자들에게 유전자변이 및 과발현에 의해 나타나는 혈액암이다.

​혈액암은 현재 사용 중인 단일 분자 표적치료제를 반복 투약하면 내성이 발생하여 항암치료 효과가 급격히 떨어진다. CG-806은 BTK 및 FLT3 관련된 암을 유발하는 신호전달 표적단백질군(Cluster)만을 억제하며, 부작용을 유발하는 표적은 억제하지 않는 장점을 갖고 있다.

​CG-806를 기술 도입한 미국 앱토즈는 지난해 6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임상 1상을 승인받아 미국 내 23개 병원에서 환자를 등록하며 임상을 진행 중이다. 만성림프구성백혈병(CLL), 소림프구림프종(SLL), 비호지킨림프종 환자 130명을 대상으로 약물의 안전성과 내약성을 평가하고 있다. 지난 7월에는 급성골수성백혈병(AML)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 1상도FDA 추가 승인을 받았다.​

앱토즈에 따르면 CG-806은 림프암에서 지난해 약 5조원의 매출을 올린 이브루티닙(ibrutinib) 및 개선된 신약후보들 투약 중 나타나는 내성 균주들에 대해서도 뛰어난 항암 활성을 나타냈다. 급성골수성백혈병의 경우에도 획기적인 치료제가 될 것으로 예측돼 향후 임상시험 성공 시 혈액암 치료제 시장의 게임체인저가 될 것으로 회사 측은 기대하고 있다.

​​크리스탈지노믹스 관계자는 “미국 앱토즈가 자사의 최우선적으로 CG-806 개발에 전사적으로 매달리고 있다”면서 “노바티스 글리벡 개발자들로 구성된 앱토즈 개발인력은 2상 종료 후 기술수출 등을 계획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앱토즈 관계자는 “CG-806은 현재 뛰어난 내약성과 약리학적 활성을 보이고 있다”며 “여러가지의 종양을 유발하는 키나아제를 저해할뿐 아니라 말초혈액에서 림프구를 증가시키는 효과도 나타냈다”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2세들의 광폭 행보…행정부 실세들의 '진짜' 역할은 [이슈크래커]
  • 충격적인 故김새론의 고백, ‘AI 조작’이라고? [해시태그]
  • ‘터졌다하면 수백억’…정치권 규제 프레임 갇힌다 [횡령의 땅, 규제의 그림자 下]
  • 32년 만에 성사된 리그1 vs 세리에A 챔스 결승…관련 징크스는? [이슈크래커]
  • 롯데컬처웍스·메가박스중앙 합병 MOU…‘위기의 영화산업’ 활로 찾는다
  • 아이들, '여자' 떼고 새 출발…이름 '싹' 바꾸는 엔터 업계, 왜 지금일까? [엔터로그]
  • 거세지는 위약금 면제 요구…SKT "7조원 이상 손실 예상"
  • 국민 절반은 울화통 안고 산다 [데이터클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08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0,386,000
    • +2.28%
    • 이더리움
    • 2,735,000
    • +4.99%
    • 비트코인 캐시
    • 583,500
    • +9.89%
    • 리플
    • 3,108
    • +2.41%
    • 솔라나
    • 215,400
    • +2.96%
    • 에이다
    • 1,007
    • +4.14%
    • 이오스
    • 1,184
    • +16.19%
    • 트론
    • 354
    • +1.72%
    • 스텔라루멘
    • 384
    • +3.23%
    • 비트코인에스브이
    • 54,500
    • +5.52%
    • 체인링크
    • 20,850
    • +5.62%
    • 샌드박스
    • 409
    • +5.14%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