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시 입주 앞두고 교통대책 미흡 시 광역교통특별대책지구로 지정

입력 2020-09-08 10: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광역교통시설부담금, 광역버스 등에도 사용

▲8000가구의 아파트를 공급하는 방안이 추진되는 서울 중심부인 용산역 정비창 부지 전경. (연합뉴스)
▲8000가구의 아파트를 공급하는 방안이 추진되는 서울 중심부인 용산역 정비창 부지 전경. (연합뉴스)
앞으로 신도시 등 대규모 개발을 할 때 입주가 진행 중인데도 광역교통개선대책이 지연될 경우 최장 6년간 광역교통특별대책지구로 지정해 집중 관리하기로 했다. 또 광역버스에도 광역교통시설부담금을 사용할 수 있게 됐다.

국토교통부는 광역교통특별대책지구 지정기준 및 절차 마련과 광역교통시설부담금의 사용범위 확대를 내용으로 하는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이하 광역교통법) 시행령이 8일 국무회의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우선 신도시 등 대규모 개발사업 시행에 따라 수립한 광역교통개선대책이 지연되는 경우 광역교통 불편을 방지하기 위해 광역교통특별대책지구 지정을 통해 광역교통특별대책을 수립ㆍ시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신도시 등의 입주가 진행됐거나 1년 이내에 입주 예정임에도 광역교통개선대책의 이행률 또는 집행률이 50% 미만이거나 철도사업이 1년 이상 지연된 경우 특별대책지구로 지정된다.

또 광역교통특별대책지구 지정 기간은 최단 3년 이내 기간에서 정하도록 하고 만료 시점에 기준 충족 여부에 따라 최장 3년의 기간 내에서 연장할 수 있도록 해 최장 6년까지 지정할 수 있다.

아울러 지구 지정에 따라 광역교통특별대책을 수립할 경우 대책의 실효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연차별 운영 및 건설ㆍ관리계획을 함께 마련해야 한다.

개정안은 또 대도시권 주민들의 편리한 출퇴근을 지원하는 광역버스 서비스의 안정적 제공과 이용 편의성 향상을 위해 광역교통시설부담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범위가 확대된다.

그동안 광역교통시설부담금은 광역도로ㆍ철도 등 광역교통 관련 시설에 한정해 사용할 수 있도록 제한돼 일부 수익성이 부족한 광역버스 노선의 충분한 운행을 지원하기 어려웠다.

이번 개정안으로 부담금의 사용범위가 확대돼 광역버스 서비스가 충분하고 안정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환승 정류소 및 버스 회차(回車)시설, 운수 종사자 휴게소 등 광역버스 이용자 및 운수 종사자의 이용 편의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시설의 건설 및 개량사업에도 광역교통시설부담금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지종철 국토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광역교통정책국장은 “이번 시행령 개정을 통해 광역교통개선대책 지연에 따른 입주민의 교통 불편 해소와 광역버스의 안정적이고 원활한 운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이투데이, ‘K-제약바이오포럼 2025’ 개최…초고령사회 해법 찾는다
  • 단독 현대차 정연추, 성과급 퇴직금 적용 소송 추진⋯승소 시 인당 최대 1억 환급
  • "청년적금" "반값월세" "여가부 폐지"…청년 표심 어디로?
  • 절판된 책 구하고 싶다면…‘우편 복사 서비스’로 해결 [경제한줌]
  • '불꽃야구' 시끄러웠던 2025 트라이아웃 드디어 공개…김성근 픽은 누구?
  • 리플은 왜 서클을 탐내나…올해 '신의 한 수' 될까 [블록렌즈]
  • 임신 소식 앞에 미안함부터 꺼낸 임라라, 왜 난임부부를 떠올렸을까? [해시태그]
  • 이세돌 '데블스 플랜'→왕의 귀환 '크라임씬'…두뇌 서바이벌 판도, 어떻게 더 커졌나 [이슈크래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179,000
    • +1.1%
    • 이더리움
    • 3,772,000
    • +8.02%
    • 비트코인 캐시
    • 578,000
    • +0%
    • 리플
    • 3,606
    • +0.9%
    • 솔라나
    • 255,600
    • +4.93%
    • 에이다
    • 1,160
    • +0.78%
    • 이오스
    • 1,249
    • +1.22%
    • 트론
    • 380
    • -1.3%
    • 스텔라루멘
    • 442
    • -0.45%
    • 비트코인에스브이
    • 57,200
    • +0.88%
    • 체인링크
    • 24,710
    • +4.88%
    • 샌드박스
    • 512
    • +1.3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