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바이오팜에서 시작된 공모주 따따상 열풍이 카카오게임즈에 이어 방탄소년단(BTS)의 소속사 빅히트엔테테인먼트(이하 빅히트엔터)까지 이어질 것이라는 장미빛 전망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앞선 회사들과 달리 빅히트엔터는 상장 직후 매물로 출회될 수 있는 물량이 총발행주식에 35%에(SK바이오팜 15%, 카카오게임즈 20%) 이르고 금융당국이 폭증하는 신용대출을 옥죌 경우 공모청약 자금이 상대적으로 덜 몰릴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공모주 광풍 자금줄 신용대출…금융당국 규제 조치 임박 = 17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8월 5대 시중은행의 신용대출이 사상 최대 규모(4조705억 원)로 불어난 데 이어 이 달 들어서도 8영업일 만에 또 1조1425억 원 불어나고 있다.
최근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신용대출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자영업자들의 자금 수요가 늘어난 것도 있지만 주식시장의 ‘빚투(빚내서 투자)’ 등이 맞물린 결과로 풀이된다.
관련 뉴스
SK바이오팜이 ‘따따따상’(공모가 대비 시초가가 2배로 뛴 후 상한가 3번)을 기록하자 단기 투자 차익을 얻을 수 있는 ‘공모주 대박’을 노리고 ‘마통’(마이너스통장) 빚까지 끌어다 투자에 나서며 카카오게임즈 청약에도 58조 원이 몰리기도 했다.
이에 주식시장에서는 빅히트엔터도 따상상 열풍이 이어질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그러나 증시전문가들은 ‘따따따상’을 기록한 SK바이오팜과 ‘따따상’을 친 카카오게임즈와 달리 빅히트엔터는 상황이 다를 것이라고 전망한다.
우선 최근 공모주 광풍의 자금줄이던 신용대출이 폭증하면서 금융당국의 신용대출 억제 조치가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특히 고액 신용대출을 집중 관리하는 방안 등이 거론되고 있다. 이 경우 빅히트엔터 매수 대기자금이 줄어드는 효과가 나와 SK바이오팜, 카카오게임즈 보다는 흥행이 떨어질 수 있다.
◇SK바이오팜ㆍ카카오게임즈 비해 유통 가능주식 많아 = 빅히트엔터가 따따상 열풍을 잇기 어려운 또 하나의 문제는 유통 가능 수량이 너무 많다는 점이다.
SK바이오팜의 경우 상장하면서 시장에 나올 수 있는 물량은 총발행주식에 15% 미만에 그쳤다. 카카오게임즈도 상장 첫날 유통가능한 주식 수가 1501만 주로 전체 상장주식수(7320만4731주)의 20.5%에 불과해 수급 부담이 적은 것도 주가 상승에 탄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빅히트엔터는 일반공모 713만 주를 포함해 1005만2575주가 상장과 동시에 유통가능하다. 여기에 미전환된 상환전환우선주 177만7568주까지 있어 총 1183만143주(총발행주식 35%)가량이 매물로 출회될 수 있다.
한 증권업계 전문가는 “주가에 영향을 끼치는 여러 요인 중 수급적인 측면이 크다”며 “SK바이오팜이 따따따상을 기록한데는 유통물량이 15%이내로 물량이 적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카카오게임 역시 유통가능수량이 20%대라 따따상이 가능한 것 같다”면서 “반면 빅히트엔터테인먼트는 SK바이오팜에 두배에 달하는 물량 부담이 있어 공모주 청약 흥행은 성공하겠지만 상장 후 주가는 따따상 열풍을 이어가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