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시스템, 6700억원 규모 '한국형 차기 구축함' 두뇌 개발 맡는다

입력 2020-09-16 09:43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KDDX 전투체계 및 다기능 레이다 개발' 최종 우선협상대상자 선정

한화시스템은 16일 한국형 차기 구축함(KDDX)의 ‘전투체계(CMS) 및 다기능 레이다(MFR) 개발’ 사업의 최종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KDDX란 최초의 국산 구축함이다. 선체부터 전투체계, 다기능레이다 등 핵심 무기체계를 비롯해 각종 무장까지 모두 국내기술로 만들 계획이다.

사업 규모는 약 6700억 원으로 지난해 한화시스템 방산 부문 매출의 60%에 달한다. 국내 전투체계 개발사업 중 최고액이다.

전투체계란 함정의 '두뇌' 역할을 하는 시스템이다. 함정에 들어가는 센서, 무장, 기타 통신, 지휘체계를 통합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체계다.

KDDX 전투체계는 대공전, 대함전, 전자전, 대지전 등 동시다발적인 전투 상황에서 함정의 지휘와 무장 통제를 수행한다.

다기능 레이다로는 한 개의 플랫폼에서 동시에 운용되는 교전용 ‘듀얼밴드 다기능레이다’를 탑재한다.

장거리 대공표적과 탄도탄 탐지ㆍ추적용 S-밴드 레이다와 단거리 대공표적과 해면 표적 탐지ㆍ추적용 X-밴드 레이다 두 개를 통합마스트(I-MAST)에 장착한다. 통합마스트란 함정의 스텔스 능력을 높인 신개념 무기체계다.

특히 X-밴드 레이다는 미국, 유럽 등 일부 선진국에서만 보유한 첨단 기술을 적용할 예정이라고 한화시스템 측은 강조했다.

이런 기술력 등을 바탕으로 KDDX의 함정 피탐율 감소, 센서/통신 안테나 간 간섭 등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해 전투함의 생존 가능성 강화와 전투능력이 극대화할 것이라고 한화시스템 측은 밝혔다.

김연철 한화시스템 대표이사는 “주변 강대국들의 군사력 경쟁이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한 상황에서 순수 국내기술이 집약된 차기 구축함 개발사업에 참여하게 돼 막중한 책임감과 사명감을 느낀다"며 “국내외 함정 전투 체계와 레이다 개발을 통해 축적된 기술로 이지스함을 뛰어넘는 최고의 첨단두뇌를 지닌 전투함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전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프로야구 역대 최다기록 모음집…연승과 연패, 그리고 천적 [그래픽 스토리]
  • 내년 의대 모집인원 3058명 동결...수업참여율 26% 저조
  • 내년 의대 모집인원 3058명 동결...수업참여율 26% 저조
  • 다음 주 尹 법정 모습 공개된다…법원, 공판 촬영 허가
  • 감사원 “文 정부, 통계청·부동산원 압박해 수치 수정·왜곡 지시”
  • 트럼프 ‘관세 협상’ 깜짝 등판…일본 첫 단추부터 ‘주도권’ 뺏겨
  • “대중교통 이용도 쉽지 않으니까요”…‘임산부 교통비 지원 사업’ 이용하려면 [경제한줌]
  • [세계의 창] 푸틴, 해군 핵무기 현대화 완료 선언...전문가 의견은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7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2,685,000
    • +0.33%
    • 이더리움
    • 2,320,000
    • +1.22%
    • 비트코인 캐시
    • 481,800
    • +4.08%
    • 리플
    • 3,018
    • +0.27%
    • 솔라나
    • 194,900
    • +6.04%
    • 에이다
    • 906
    • +3.42%
    • 이오스
    • 919
    • +0.44%
    • 트론
    • 362
    • -0.82%
    • 스텔라루멘
    • 348
    • +2.65%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650
    • +0.77%
    • 체인링크
    • 18,230
    • +3.4%
    • 샌드박스
    • 360
    • +1.98%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