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풍ㆍ장마에" 배추 80%ㆍ호박 170% 폭등..농산물값 16% 올라 2년만 최고

입력 2020-09-22 06: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생산자물가, 3개월 연속 상승…한은 "코로나19로 주춤했던 소비 일시적 회복 영향도"

▲생산자물가지수 등락률 추이 (자료제공=한국은행)
▲생산자물가지수 등락률 추이 (자료제공=한국은행)

생산자물가가 3개월 연속 상승했다. 특히 태풍과 장마 영향으로 배추와 호박을 중심으로 한 농산물 물가가 2년만에 큰 폭으로 올랐다.

2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8월 생산자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5% 상승한 103.19(2015년 100 기준)를 기록했다. 6월(0.5%)부터 3개월 연속 상승세다.

품목별로는 농산물이 16% 상승해 2018년 8월(16.3%) 이후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다. 호박(172.6%)과 배추(80.9%), 사과(22.6%) 등이 장마와 태풍 등 영향에 크게 오른 탓이다. 반면, 축산물은 돼지고기가 8.2% 하락하는 등 전체적으로 2.3% 하락했고, 수산물은 냉동새우(-32.4%)와 게(-25.8%)를 중심으로 3.0% 떨어졌다. 전체 농림수산품은 6.1% 상승해 두 달 연속 올랐다. 이 또한 2018년 8월(8.0%) 이후 최고치다.

강환구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8월엔 태풍과 장마 등 계절적 요인으로 농산물 물가가 크게 상승했다”며 “축산물은 집중호우에 따른 휴가철 감소 및 학교 우유 공급 감소, 수산물은 외식수요 감소 등으로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공산품은 국제유가와 원자재가격 상승 영향에 0.2% 올랐다. 석 달째 상승세다. 1차금속제품은 1.6%, 석탄 및 석유제품은 0.8% 상승했다.

서비스업은 0.3% 상승하며 5개월 연속 올랐다. 금융 및 보험업이 1.3% 오른 가운데, 음식점 및 숙박업이 0.4%, 운송업이 0.2% 상승했다. 특히 음식점 및 숙박업의 경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도 휴가철 소비가 일시 반등한 것으로 보인다고 한은은 전했다.

강 팀장은 “주가지수 상승으로 금융 및 보험이 강세를 보였고, 여름철 성수기 요금 상승 영향으로 음식ㆍ숙박업이 상승했다”고 말했다. 이어 “코로나19로 위축된 소비가 성수기 휴가철 기간 중에는 일시적으로 오른 측면이 일부 반영된 부분도 있었다”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5월 황금연휴 인기 여행지 살펴보니…‘오사카·나트랑·후쿠오카’ 톱3
  • 한덕수 대행 “한층 더 성숙한 민주주의 실현해 나가겠다”
  • 주유소 휘발유 가격 12주 연속 하락…리터 당 1635.6원
  • “밑 빠진 독” 게임 구독제의 역사…정액제에서 리니지 스킬 구독까지 [딥인더게임]
  • 마인크래프트 무비, 상상하는 모든 것이 '네모난' 현실이 된다 [시네마천국]
  • 해외IB, 韓 올해 성장률 전망치 0.5%까지 '뚝'…내년도 '흔들'
  • 티니핑부터 헬로카봇까지…어린이날 선물 어디서 살까
  • "명품에만 앰배서더? NO" 호텔에도 앰배서더 있다 [배근미의 호스테리아]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528,000
    • +1.75%
    • 이더리움
    • 2,588,000
    • +1.73%
    • 비트코인 캐시
    • 540,000
    • +3.75%
    • 리플
    • 3,153
    • +0.51%
    • 솔라나
    • 217,500
    • -0.05%
    • 에이다
    • 1,033
    • +1.08%
    • 이오스
    • 1,009
    • +3.81%
    • 트론
    • 352
    • +0%
    • 스텔라루멘
    • 416
    • +5.05%
    • 비트코인에스브이
    • 64,450
    • +21.26%
    • 체인링크
    • 21,690
    • +0.42%
    • 샌드박스
    • 448
    • +3.4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