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청와대 국감 다음달 4일로 연기...참모진 불참에 야당 반발

입력 2020-10-29 13:18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28일 밤 7명 불출석 사유서 제출...민정수석 참석 여부 '불씨'

▲청와대 전경 (뉴시스)
▲청와대 전경 (뉴시스)

29일 열릴 예정이던 국회 운영위원회의 대통령 비서실 국정감사가 다음 달 4일로 연기됐다.

청와대 참모진들의 갑작스런 국감 증인 무더기 불출석 통보에 야당인 국민의힘이 반발한 데 따른 것이다. 더불어민주당 김태년·국민의힘 주호영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회동을 갖고 당초 오전 10시로 예정됐던 운영위의 청와대 국정감사를 연기하기로 합의했다.

국민의힘 김성원 원내수석부대표, 더불어민주당 박성준 원내대변인은 운영위원장실 앞에서 기자들과 만나 "다음 주 수요일(11월 4일) 오전 11시로 국감을 연기한다"고 밝혔다.

앞서 서 실장을 비롯해 김종호 민정수석, 유연상 대통령 경호처장, 지상은 경호본부장, 이성열 국가위기관리센터장, 노규덕 평화기획비서관, 박철민 외교정책비서관 등 청와대 참모진 7명은 국감을 하루 앞둔 전날 저녁 불출석 사유서를 국회에 제출했다.

유 경호처장과 지 경호본부장, 이 센터장은 당초 업무적 특성과 국정현안 대응을 이유로 불출석 의사를 밝혔다. 청와대 민정수석의 경우 관례적으로 사유서를 제출하고 불출석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서 실장은 원래 출석 예정이었지만 17일 미국 방문 일정을 끝내고 돌아와 코로나19 방역 지침에 따른 자가격리로 대면회의가 불가하다는 사유를 밝혔다.

서 실장의 방미를 수행한 노 비서관도 같은 사유를 밝혔고 박 비서관은 유명희 통상교섭본부장의 세계무역기구(WTO) 사무총장 선거 건으로 자리를 비우기 힘들다는 사유를 알려왔다. 그러자 국민의힘은 "국회 무시의 전형"이라고 강하게 반발하며 청와대 국감 보이콧을 검토해 왔다.

주 원내대표는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어제 저녁에 불출석한다고 (갑자기) 통보하는 게 말이 되냐. 민주당 원내대표단이 국회의 기본 체면은 지켜줘야 한다"며 "안보실장이 안 나오는 게 어딨냐. 도대체 국회가 이런 적이 어딨냐"고 반발했다.

다만 관례상 국감에 불출석해오던 민정수석의 출석 여부를 놓고 이견이 남아 있어 진통이 다시 불거질 가능성도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이투데이, ‘K-제약바이오포럼 2025’ 개최…초고령사회 해법 찾는다
  • 단독 현대차 정연추, 성과급 퇴직금 적용 소송 추진⋯승소 시 인당 최대 1억 환급
  • "청년적금" "반값월세" "여가부 폐지"…청년 표심 어디로?
  • 절판된 책 구하고 싶다면…‘우편 복사 서비스’로 해결 [경제한줌]
  • '불꽃야구' 시끄러웠던 2025 트라이아웃 드디어 공개…김성근 픽은 누구?
  • 리플은 왜 서클을 탐내나…올해 '신의 한 수' 될까 [블록렌즈]
  • 임신 소식 앞에 미안함부터 꺼낸 임라라, 왜 난임부부를 떠올렸을까? [해시태그]
  • 이세돌 '데블스 플랜'→왕의 귀환 '크라임씬'…두뇌 서바이벌 판도, 어떻게 더 커졌나 [이슈크래커]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5.1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46,075,000
    • -0.36%
    • 이더리움
    • 3,501,000
    • -2.42%
    • 비트코인 캐시
    • 568,500
    • -2.57%
    • 리플
    • 3,586
    • +5.38%
    • 솔라나
    • 245,300
    • -0.69%
    • 에이다
    • 1,130
    • -2.59%
    • 이오스
    • 1,218
    • -6.95%
    • 트론
    • 373
    • -1.84%
    • 스텔라루멘
    • 436
    • -1.36%
    • 비트코인에스브이
    • 55,900
    • -4.77%
    • 체인링크
    • 23,460
    • -3.81%
    • 샌드박스
    • 494
    • -4.2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