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보호위원회, 정부입법 법령안 개선해야

입력 2020-11-03 10: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사진제공=개인정보보호위원회)
(사진제공=개인정보보호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보호위)가 정부입법 법령안의 개인정보 침해요인을 사전 평가하고 개선을 권고했다고 3일 밝혔다.

보호위는 2016년부터 정부 제‧개정 법령안에 대한 개인정보 침해요인 사전 평가를 추진해왔다. 지난 4년간 개인정보 처리를 수반하는 총 1279건의 정부입법 법령안 중 556개 법령에 개선을 권고했다. 보호위는 이와 같은 사항을 3일 55차 국무회의에서 보고했다.

개선권고 556건 중 수집 목적을 넘어서 관행적으로 과다하게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경우가 총 302건으로 확인됐다. 전체 과반수를 넘는 약 54.4%였다. 보호위는 신청서식에서 개인 식별과 연락에 필요한 최소 정보만을 남기고, 신청 목적과 무관한 성별‧학력‧근무처 등의 개인정보는 삭제하도록 권고했다.

법률이나 시행령에 명확한 근거를 두지 않고 주민등록번호를 수집‧이용할 수 없도록 권고한 경우도 137건(24.6%)이었다. 달느 기관 등 제3자가 보유한 개인정보의 제공요청과 관련, 법률상 근거를 마련하고 제공범위를 특정하도록 권고한 사항고 92건(16.6%)에 달했다.

또한 개선권고 556건 중 법령의 서식 개선이 55.4%, 조문 정비가 44.6%로 확인되기도 했다.

윤종인 보호위 위원장은 “개인정보의 처리 목적을 명확하게 하고 그 목적에 필요한 범위에서 최소한의 개인정보만을 적법하고 정당하게 수집하는 것이 개인정보 보호의 기본 원칙”이라며 “법령 제‧개정시 이런 기본 원칙이 잘 지켜질 수 있도록 철저한 개인정보 침해요인 사전 평가를 통해 데이터경제 시대에 국민께 신뢰받는 개인정보 보호체계 구축을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 관세정책 혼선 지적에 “면제 아냐...품목 관세”
  • 의료법에 막힌 비대면진료 ‘제도화’ 해법은? [갈림길에 선 비대면진료③]
  • 尹 '내란혐의' 정식재판 본격 개시...'공천개입 의혹' 수사도 급물살
  • 인구 폭발은 기회…경제 혁신 물결 이는 검은 대륙 [아프리카 자본주의 혁명]
  • 벚꽃만개 4월에 내리는 눈…대설주의보 안내문자까지 발송
  • 서울 유명 빵집서 진열된 빵에 혀 대는 아이…외국인이 포착?
  • 완성차 업계, 올해 임단협 쟁점 산적…시작도 전에 진통 예고
  • 포스코, 美 25% 철강 관세 대응 위해 현대제철과 손잡나…"검토 중"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4 09:05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752,000
    • -1.53%
    • 이더리움
    • 2,326,000
    • -2.23%
    • 비트코인 캐시
    • 499,300
    • +0.36%
    • 리플
    • 3,080
    • -1.22%
    • 솔라나
    • 186,700
    • -2.56%
    • 에이다
    • 926
    • -2.94%
    • 이오스
    • 882
    • -12.15%
    • 트론
    • 370
    • +3.64%
    • 스텔라루멘
    • 346
    • -3.08%
    • 비트코인에스브이
    • 40,900
    • -5.43%
    • 체인링크
    • 18,360
    • -3.47%
    • 샌드박스
    • 374
    • -5.32%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