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최후의 주거 전선으로 꼽히는 쪽방촌의 주거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전국에서 처음으로 표준평면을 개발했다고 18일 밝혔다. 표준평면은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하고 거동이 불편한 노령층의 생활 특성과 쪽방의 공간‧환경적 제약 등을 고려한 맞춤형 주거 모델이다.
현재 서울시내 쪽방은 영등포구 영등포동과 종로구 돈의동, 용산구 동자동·갈원동, 중구 남대문로 5가, 종로구 창신동 등 5개 지역에 밀집해 있다. 총 314개 동, 3830가구로 작년 말 기준 총 3085명이 거주하고 있다. 이들 중 65세 이상 노령층이 35.5%를 차지한다. 10명 중 6명은 기초생활수급자(59.1%)다.
이들이 생활하는 쪽방은 지역에 따라 편차는 있지만 대체로 좁고 열악한 개별실에 공동 현관, 화장실, 주방이 배치된 구조다. 별도의 커뮤니티 공간 없이 좁은 골목길이 그 역할을 대신했다.
시가 개발한 이번 표준평면 유형은 '주거기본법'에 따른 최저주거 기준인 14㎡ 이상으로 설계된다. 몸만 간신히 누울 수 있는 비좁은 공간이 아닌 인간다운 삶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다. 안전과 편리함, 위생, 심리적 치유, 사회적 회복에도 주안점을 뒀다.
1인실(15㎡ 기준)은 최소 주거면적에 독립된 침실과 욕실, 주방으로 구성된다. 다인실(45㎡ 기준)은 침실은 독립적으로 사용하되 화장실‧주방‧거실 등은 공유할 수 있도록 해 다른 이들과 함께 지내면서 관리와 자극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특성화실(33㎡ 기준)은 스스로 생계 유지가 어려운 만큼 관리자ㆍ보호자가 함께 거주하도록 했다. 침실을 개방하고, 화장실‧주방‧거실 등을 공유할 수 있게 한 구조다.
각 평면별 조합‧배치 방식도 마련했다. 기존 쪽방촌에서 주민 커뮤니티 공간 역할을 하고 있는 골목길처럼 입주민 누구나 가깝게 이용할 수 있는 공유‧공용공간을 배치한다. 거주자 특성에 따라 심리치료실, 자활프로그램실, 직업훈련실 등도 마련하도록 했다.
서울시는 이번에 개발한 표준평면을 쪽방 정비사업의 공공주택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50년 된 쪽방촌인 영등포 쪽방촌 일대 개발에 우선 적용하는 것을 추진 중이다. 향후 고시원, 빈집 등을 활용한 1인 가구용 소규모 임대주택 사업 등을 추진할 때에도 가이드라인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김성보 서울시 주택건축본부장은 "주거 취약계층을 위한 주거 공간은 단순한 물리적 공간을 넘어 실거주자의 특성에 맞춰 쾌적하고 안전한 공간, 위생적이고 치유적인 공간으로 제공돼야 한다"며 "기존 쪽방 거주민이 재입주하는 공공주택에 적용해 비주택 주거로 내몰렸던 취약계층의 주거복지를 실현하고, 원주민의 재정착률을 높이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