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포럼, 치매 임상 2b/3상 시작 등 사업 다각화 추진

입력 2020-11-30 10:52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천연물 치매치료제 바이오 R&D 기업 ㈜메디포럼이 최근 변화된 모습으로 새로운 대표이사로 취임한 최진석 대표의 신 경영 및 치매치료의 임상재개와 각종 사업의 다각화로 회사내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메디포럼은 2019년부터 현재까지 진행중인 천연물 치매 치료제 PM012의 임상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신약개발 사업 중 제2의 파이프 라인인 비마약성 진통제 MF018도 국가 과제의 연구성과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이 주관한 국가선정 100대 과제에 선정되는 등회사 발전이 연일 탄력을 받고 있다고 30일 전했다.

또한 뇌 건강 분야의 전문 R&D기업답게 꾸준한 연구 개발로 탄생된, 기억력 개선 건강기능식품 '브레인원'이 한층 업그레이드되어 재출시됨과 동시에 각종 프랜차이즈 사업과 B2B 사업을 추진하여 브랜드 인지도 향상과 매출 증대에도 큰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새로워진 '브레인원'은 일반 중년층의 기억력 증진은 물론이고 수험생 및 기타 자격증 및 공무원 시험 등 모든 공부하는 분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이다.

㈜메디포럼은 2018년 9월 식약처로부터 치매 임상 2b/3상 시험을 승인을 받았지만, 그간 임상진행 준비와 경영권 분쟁 등으로 진행이 다소 늦춰졌었다. 하지만 2020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임상 시험을 진행을 하는 바,개발에 꼭 좋은 결과를 내어 국내외 대형 제약사들도 번번이 고배를 마시며 '난공불락'의 과제로 꼽히는 치매 치료제 개발에 ㈜메디포럼의천연물 치매치료제가 세계 최초로 글로벌 시장에 진입하는 신호탄이 될 지 귀추가 주목된다.

앞으로 ㈜메디포럼은 사명감을 가지고,치매 치료제 개발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 국내는 물론, 전세계에 고통받는 치매 환우 및 그 가족들에게 반드시 희망적인 매세지를 전달해주고, 나아가 전 세계인들의 건강한 삶에 이바지하는공익적인 목표를 가지고 사회에 공헌하는 기업으로 꼭 발전하겠다고 밝혔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관세전쟁에 내수부진 장기화까지...韓경제 짓누른 'R의 공포'
  • 대법, ‘이재명 사건’ 직접 결론낼까…최근 파기자판율 0% 가까워
  • 금요일 조기 퇴근, 진짜 가능할까? [이슈크래커]
  • 미국 경영진 체감경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악…줄줄이 전망 하향 조정
  • "마라톤 뛰러 미국 간다"…러너들이 가장 가고 싶어하는 해외 마라톤 대회는 [데이터클립]
  • “군 간부입니다” 믿었다가…진화된 ‘조직적 노쇼’에 당했다 [해시태그]
  • 국민의힘 4강 ‘토론 대진표' 확정...한동훈-홍준표 3시간 끝장 토론
  • ‘입시비리’ 조민, 2심도 벌금 1000만 원...법원 “원심판단 정당”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3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4,298,000
    • +0.98%
    • 이더리움
    • 2,587,000
    • +3.48%
    • 비트코인 캐시
    • 514,000
    • -0.68%
    • 리플
    • 3,190
    • +0.92%
    • 솔라나
    • 216,700
    • +2.51%
    • 에이다
    • 1,001
    • +4.27%
    • 이오스
    • 973
    • +1.99%
    • 트론
    • 354
    • -0.28%
    • 스텔라루멘
    • 384
    • +1.86%
    • 비트코인에스브이
    • 44,160
    • +0.25%
    • 체인링크
    • 21,700
    • +8.45%
    • 샌드박스
    • 428
    • +2.39%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