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연, 차세대 비정질합금 제조기술 국산화…폴더블폰 힌지 적용

입력 2020-12-09 08:49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연구팀 주조기술이 적용된 비정질합금 박판 및 내부 결함 CT 촬영 모습. (사진제공=한국재료연구원)
▲연구팀 주조기술이 적용된 비정질합금 박판 및 내부 결함 CT 촬영 모습. (사진제공=한국재료연구원)

국내 연구진이 차세대 비정질 금속 소재 제조기술을 국산화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재료연구원(KIMS)은 금속재료연구본부 나영상 박사 연구팀이 저비용 무결함 비정질합금 박판 제조를 위한 새로운 방식의 급속냉각 감압주조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비정질합금은 일반적인 결정질합금에 비해 2배 이상의 고강도, 4배 이상의 큰 탄성한계는 물론, 탁월한 내구성과 내마모성, 내식성, 고광택 등 표면 특성 또한 우수하다. 하지만 제조할 수 있는 부품의 크기 한계와 다량의 주조 결함 발생 등으로 생산 효율이 낮고 이에 따른 가격 경쟁력 저하 등으로 상용화가 어려운 단점이 존재했다. 이 때문에 주로 수십 마이크로미터(㎛) 수준 두께의 극박판이나 분말 형태로만 상용화돼 왔다.

▲다전극 진공 감압 주조 기술을 이용한 대면적 박판 제조 공정. (사진제공=한국재료연구원)
▲다전극 진공 감압 주조 기술을 이용한 대면적 박판 제조 공정. (사진제공=한국재료연구원)

연구팀은 다전극 진공 감압 주조 기술 개발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한 번에 해결했다. 두께 1~2㎜ 내외, 폭 100~200㎜ 내외의 건전한 비정질합금 박판 제조와 더불어 제조 과정에서 고온ㆍ고압의 가혹한 환경 노출을 최소화해 금형의 수명 저하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기술을 확보했다.

다전극 진공 감압 주조 기술은 벌크 비정질합금 및 비정질 기지 복합재를 대면적으로 제조하는 데 활용이 가능하다. 적절한 금형 설계를 통해 폴더블폰 및 롤러블폰 등 최신 스마트기기와 의료기기, 스포츠용품 등 고부가가치 산업 분야에 확대 적용할 수 있다. 기술이 폴더블폰의 힌지 부품에 적용될 경우 2020년 국내 시장규모는 연간 약 5800억 원, 골프클럽 페이스 소재에 적용될 경우 세계 시장규모는 연간 약 7400억 원에 달할 것이란 예상이다.

연구팀은 다전극 진공 감압 주조 기술 및 그 장치 개발 기술과 관련해 2건의 국내 등록 특허와 1건의 미국 등록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 국내외 기업을 대상으로 기술이전 등을 계획 중에 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트럼프發 관세전쟁에 코스피 시총 지각변동...한화에어로 현대차 맹추격
  • "이 핑계로 미루고, 저 핑계로 늦추고"…개점휴업 연금특위
  • 공천 개입에 도이치 주가조작까지…檢, 김여사 조사 초읽기
  • PASS 앱 '명의 도용 방지' 서비스, 여전히 '먹통'…"서비스 재개 언제?"
  • 카카오, 드디어 AI '카나나' 첫 선…분위기 반전 노린다
  • 올해 교대 수시, 내신 6등급도 합격·신입생 미충원 속출
  • 막 오른 위성통신 경쟁…스타링크·원웹 韓 진출 임박, 아마존은 아직
  • 1분기 서울 아파트 거래량 2만건 육박…2021년 이후 최대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25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36,553,000
    • -0.37%
    • 이더리움
    • 2,626,000
    • +0.65%
    • 비트코인 캐시
    • 514,000
    • -4.64%
    • 리플
    • 3,148
    • -0.57%
    • 솔라나
    • 212,900
    • -2.92%
    • 에이다
    • 1,018
    • -2.77%
    • 이오스
    • 980
    • -2.68%
    • 트론
    • 365
    • +4.29%
    • 스텔라루멘
    • 420
    • +0.24%
    • 비트코인에스브이
    • 63,700
    • +0.79%
    • 체인링크
    • 21,290
    • -2.7%
    • 샌드박스
    • 443
    • -2.85%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