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금에 빠진 대한민국…청년 구직자 43% “구직지원금 받았다”

입력 2021-01-06 09:34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인크루트와 알바콜 공동조사 결과, 청년 구직자 4명 중 3명은 구직지원금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제공=인크루트)
▲인크루트와 알바콜 공동조사 결과, 청년 구직자 4명 중 3명은 구직지원금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제공=인크루트)

청년 구직자 4명 중 3명이 구직지원금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경기가 어려운 가운데 생활비로 이용할 수 있어서다.

취업포털 인크루트와 알바콜은 6일 ‘구직지원금 실태’에 대해 청년 구직자 1300명을 대상으로 공동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먼저 지난 한 해 '정부 및 각 지자체 등에서 청년구직지원금을 받았다'고 답한 응답자는 43.1%로 나타났다. 이들이 수급한 지원금은 월 50만 원씩 최대 6개월간 지원하는 '청년구직활동지원금'(32.4%) 및 코로나19 여파로 취업여건을 긴급 지원하는 목적의 '청년특별구직지원금'(18.7%)으로 각각 조사됐다. 수급 금액은 평균 199만 원이다.

청년 구직자에 구직활동지원금에 대해 긍·부정으로 나누어 응답 받은 결과, 긍정이 76.4%, 부정이 21.7%으로 집계됐다.

긍정적으로 보는 이유로는 '코로나로 일자리, 아르바이트가 없는 와중에 생활비로 활용할 수 있었음'(31.3%)이 1위로 꼽혔다. 이어 '부모님에게 손 벌리지 않고 취업준비가능'(27.5%), '평소 관심있던 직무분야 공부를 합리적으로 수강할 수 있음'(17.6%) 등의 답변이 나왔다.

반면 부정적으로 평가되는 이유도 나타났는데, '실제 구직활동에 쓰이지 않는 경우가 많음'(9.8%)이 가장 먼저 꼽혔다. 이외 '수급기준이 까다로워 받기 어려움'(7.9%), '구직지원금 규모가 작음'(4.0%) 등이다.

구직자들에게 향후 청년구직지원금의 개선방향에 대해서도 청취했다. 그 결과 가장 많이 꼽인 의견은 '가입요건 완화'(22.4%)다. 구직지원금 수급요건을 완화해 지원금을 필요로 하는 청년들이 더 많이 받을 수 있어야 한단 것이다.

또한 '구직활동 외 사용에 대한 심사기준 강화'(17.4%)란 의견도 나왔다. 지원금이 구직활동 취지에 맞게끔 활용되어야 한다는 점을 꼬집은 것이다.

본 조사는 지난달 8일부터 13일까지 6일간 온라인으로 진행, 구직자 1,076명, 대학생 159명 등 응답을 참고했다.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2.49%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전직 대통령 예우 대부분 박탈 [尹탄핵 인용]
  • 韓 권한대행 "美 상호관세 대응 등 시급한 현안 해결"
  • 챗GPT 이미지 생성도구 '완전 비활성화 상태'…"이용불가 메시지"
  • 발란 기업회생 개시…머스트잇도 ‘매각설 논란’
  • 홈플러스, 현금 확보 계획 요원...근본적 대안 있나[홈플러스 사태 한달]
  • 펫보험 개편에 소비자도 설계사도 '울상'…시장 위축 우려
  • 의대생들 “정부, 과오 인정하고 의료개악 해결해야” [尹탄핵 인용]
  • 격분한 尹 지지자, 곤봉으로 경찰버스 유리 파손…현행범으로 체포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4 장종료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3,875,000
    • -0.21%
    • 이더리움
    • 2,684,000
    • -0.56%
    • 비트코인 캐시
    • 454,100
    • +0.02%
    • 리플
    • 3,076
    • +1.25%
    • 솔라나
    • 174,600
    • -0.8%
    • 에이다
    • 970
    • +0.21%
    • 이오스
    • 1,234
    • +4.58%
    • 트론
    • 351
    • +1.74%
    • 스텔라루멘
    • 388
    • +0%
    • 비트코인에스브이
    • 45,350
    • -0.42%
    • 체인링크
    • 19,240
    • -0.21%
    • 샌드박스
    • 389
    • +1.3%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