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전 자율차 목표로 2027년까지 1.1조원 투입해 기술 개발

입력 2021-01-14 11:00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산업부·과기부 등 자율차 2021년 신규과제 53개, 850.4억원 투입


차량융합기술, ICT융합 신기술 등 5대 분야 사업 추진

(자료=정부)
(자료=정부)

정부가 완전 자율주행차를 목표로 2027년까지 1조 974억 원을 투입해 관련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낸다. 우선 올해 850억 4000만 원을 투입해 핵심 인지센서 모듈 기술 개발 등 신규과제 53개를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토교통부, 경찰청 등 4개 부처는 15일 자율주행기술 개발 혁신사업의 2021년 신규과제 53개를 공고한다.

△차량융합 신기술 분야의 (산업부), ICT융합 신기술(과기부), 도로교통 융합 신기술(국토부·경찰청), 자율주행 서비스(국토부·경찰청), 자율주행 생태계(공통) 등 5대 분야를 중점 지원한다.

차량융합 신기술 개발을 위해 핵심 인지센서 모듈, AI기반 고성능 컴퓨팅기술, 자율주행차 플랫폼 등 15개 과제(182억원)에 착수한다.

ICT융합 신기술 개발을 위해선 자율주행 인지·판단·제어 AI SW기술, 자율주행 학습 데이터 수집·가공 기술 등 13개 과제(210억원)를 수행한다.

도로교통융합 신기술 개발엔 202억 원을 투입해 디지털 도로·교통 인프라 융합 플랫폼, 도로상황 인지 고도화 기술 등 11개 과제를 추진한다.

자율주행 서비스 창출에는 83억 원을 들여 교통약자 지원, 수요대응 대중교통, 도로교통 인프라 모니터링 및 긴급복구 지원 등 3개 과제에 착수한다.

자율주행 생태계 구축을 위해 표준, 안전성 평가기술 등 생태계 구축 등 11개 과제(174억원)를 선정했다.

이를 통해 완전 자율 단계인 레벨4 상용화 기반을 마련하겠단 구상이다.

(사진제공=정부)
(사진제공=정부)

아울러 과제 선정평가 시 사업화와 경제성에 대한 배점을 30점에서 40점으로 높이고 수행기관의 사업화 이력 제출도 의무화했다.

또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7대 자율주행 서비스를 개발하고, 개발된 자율주행 서비스는 2023년부터 도시 규모 리빙랩 실증환경에서 2027년까지 실증해 자율주행에 대한 대국민 수용성을 높여갈 계획이다.

오는 3월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 사업단(가칭)’도 출범해 사업 통합관리 및 사업성과 창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여의도 벚꽃 축제 시작…나들이 가기 전 '꿀팁' 알아볼까? [이슈크래커]
  • 한미 정상 첫 통화, 韓 대행 "조선, LNG, 무역균형 3대 분야서 협력" [종합]
  • 카카오, 선택과 집중…카카오엔터 매각 추진
  • K-제약·바이오, 항암신약 성과 ‘AACR 2025’서 뽐낸다
  • 매운소스 2t·닭 1200마리로 찾아낸 ‘불닭’ 매운맛, 자꾸만 생각나는 이유[K-라면 신의 한수③]
  • 배터리 ‘탈중국’ 속도 내지만…갈길 먼 소재업체 [공급망 전쟁의 서막③]
  • 금융지주 실적 갉아먹는 신탁사… 그룹 부실 최종 종착지[선넘은 신탁사 부실下] ①
  • 홍상수·김민희 득남…만남 10년만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09 09:30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15,149,000
    • -2.8%
    • 이더리움
    • 2,215,000
    • -4.53%
    • 비트코인 캐시
    • 404,200
    • -1.7%
    • 리플
    • 2,710
    • -3.93%
    • 솔라나
    • 159,600
    • -0.19%
    • 에이다
    • 844
    • -3.65%
    • 이오스
    • 991
    • -13.37%
    • 트론
    • 347
    • +1.76%
    • 스텔라루멘
    • 333
    • -3.48%
    • 비트코인에스브이
    • 39,020
    • -3.56%
    • 체인링크
    • 16,440
    • -3.86%
    • 샌드박스
    • 348
    • -3.06%
* 24시간 변동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