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드라마 보고 해외서 고추장 인기…수출 35%↑

입력 2021-01-25 09:45

  • 가장작게

  • 작게

  • 기본

  • 크게

  • 가장크게

집밥 수요 늘면서 국내 매출 증가세 전환

▲마트에서 판매중인 고추장. (연합뉴스)
▲마트에서 판매중인 고추장. (연합뉴스)

한류 인기가 높아지면서 고추장도 수출 효자 품목으로 올라섰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집밥 수요가 늘면서 국내 매출은 감소세에서 증가세로 돌아섰다.

25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식품산업통계정보에 따르면 지난해 고추장 수출액은 5093만 달러로 전년 3767만 달러에서 35.2% 증가했다.

고추장 수출액은 2016년 3133만 달러에서 2017년 3197만 달러, 2018년 3681만 달러, 2019년 3767만 달러로 소폭 증가하다가 지난해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aT는 "코로나19 이후 넷플릭스 등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를 통해 한국 드라마를 접하면서 한국 음식에 관심을 두게 된 해외 시청자가 증가했다"며 "이런 추세에 따라 한식의 매운맛을 내는 데 필수적인 재료인 고추장 수출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수출 증가폭은 태국이 113.2%, 필리핀 55.8% 등 동남아시아로의 수출이 크게 늘었다. 수출 비중은 미국 26.5%, 중국 17.3%, 일본 10.3% 순이었다.

다만 국내 매출은 최근 몇 년 동안 부진했다. 고추장의 소매 매출액은 2017년 2162억8000만 원에서 2018년 2127억6000만 원, 2019년 2107억4000만 원으로 감소했다.

하지만 지난해 코로나19 영향으로 외식이 줄어도 집밥 수요가 늘면서 상반기 소매 매출은 1181억9000만 원으로 전년 상반기 대비 6.2% 증가했다.

지난해 상반기 기준 채널별 매출 점유율은 독립슈퍼(35.0%), 체인슈퍼(27.0%), 할인점(24.4%) 순이었다.

고추장 특성상 다른 식품과 함께 사는 경우가 많아 독립슈퍼, 체인슈퍼, 할인점과 같은 중대형 소매 유통 채널의 매출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또 2019년 상반기에는 독립슈퍼와 할인점이 점유율 1, 2위였지만, 지난해는 체인슈퍼가 할인점을 제쳤다.

aT는 "코로나19 이후 사람들이 몰리는 대형마트보다 접근성이 좋고, 덜 붐비는 슈퍼로 가는 소비자가 많아지면서 나타난 결과"라고 설명했다.

  • 좋아요0
  • 화나요0
  • 슬퍼요0
  • 추가취재 원해요0

주요 뉴스

  • 뉴욕증시, 트럼프 관세 ‘90일 유예’에 폭등…나스닥 12.16%↑
  • 단독 NH농협ㆍ부산銀, 연내 ‘외국인 특화 창구’ 신설 [블루오션 외국인금융]
  • 전문가 진단 “보호무역주의는 ‘뉴노멀’…공급망 재편 필요” [공급망 전쟁의 서막④]
  • 상호관세 90일 유예한 트럼프 "사람들이 겁먹고 있길래…"
  • 중추신경 질환 잡아라…신약개발·마케팅 집중하는 기업들
  • 국제유가 60달러 붕괴ㆍ정제마진 바닥…정유업계 초비상
  • 국회 계단→이순신 장군 앞…대선 출마 선언 '장소', 왜 중요한가요? [이슈크래커]
  • 소비위축에 술도 안 마신다…식당 사장님들 '한숨' [데이터클립]

댓글

0 / 300
  • 이투데이 정치대학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TV 유튜브 채널
  • 이투데이 컬피 유튜브 채널
  • 오늘의 상승종목

  • 04.10 14:56 실시간

실시간 암호화폐 시세

  • 종목
  • 현재가(원)
  • 변동률
    • 비트코인
    • 121,400,000
    • +5.37%
    • 이더리움
    • 2,389,000
    • +9.24%
    • 비트코인 캐시
    • 443,500
    • +8.17%
    • 리플
    • 2,963
    • +9.46%
    • 솔라나
    • 171,600
    • +8.26%
    • 에이다
    • 920
    • +8.36%
    • 이오스
    • 1,009
    • +1.82%
    • 트론
    • 358
    • +4.68%
    • 스텔라루멘
    • 349
    • +5.12%
    • 비트코인에스브이
    • 41,680
    • +7.51%
    • 체인링크
    • 18,370
    • +10.46%
    • 샌드박스
    • 377
    • +5.9%
* 24시간 변동률 기준